연결 가능 링크

[뉴스풍경] 워싱턴 대한제국 공사관 복원공사 동포설명회


미국 수도 워싱턴 시내 중심가에 자리잡은 역사 보존 지역인 로간서클에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의 보수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 수도 워싱턴 시내 중심가에 자리잡은 역사 보존 지역인 로간서클에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의 보수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 주간 북한관련 화제성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풍경’시간입니다. 지난 2012년 한국 정부는 조선 말기 일제에 의해 처분된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을 102년 만에 사들여 화제였습니다. 지난 해부터 복원공사가 시작됐고 내년 봄 개관을 앞두고 있는데요. 지난주 복원 공사의 진행 과정을 알리는 설명회가 있었습니다. 장양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뉴스풍경 오디오] 워싱턴 대한제국 공사관 복원공사 동포설명회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10:04 0:00


미국 수도 워싱턴 시내 중심가에 자리잡은 역사 보존 지역인 로간서클.

1840년대 벌어진 멕시코-미국 전쟁에서 공을 세운 존 알렉산더 로간 장군의 동상이 있는 주변 지역을 로간서클이라고 부릅니다.

이곳 일부 가옥들은 1800년대 말 건축된 모습을 보존하고 있어 역사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느릅나무에 둘러싸인 ‘로간서클 15번지’는 구한말 대한제국이 미국과 첫 외교수호조약을 맺었을 때 세워진 옛 주미 대한제국 공관입니다.

1891년 고종은 당시 2만 5천 달러를 들여 이 건물을 사들였습니다. 그러나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본에 의해 1910년 당시 돈 5달러 헐값에 미국인에게 팔리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그리고 한세기가 지난 2012년 한국 정부가 공사관 건물을 매입하면서 102년만에 주인을 되찾게 됐습니다.

해외 최초로 세워진 옛 대한제국 공사관이 현재 미 주류사회와 한국정부와 미주한인사회의 관심 속에 대한제국의 자주외교의지와 미한우호의 역사를 상징하는 박물관으로 내년 봄 개관을 앞두고 있습니다.

<공사 현장음>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의 보수복원 사업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됐습니다.

공사관 보수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오수동 국외소재문화재단 사무총장은 지난해 복원사업을 시작하면서 VOA에 이번 사업의 의미를 세가지로 설명했었습니다.

[녹취: 오수동 총장] “역사의 현장이라고 하는 의미, 자주독립의 의지를 상징하는 장소입니다. 두 번째 한미 우호의 요람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미국을 믿을 수 있는 우방으로 생각하고 개설해 16년 간 한미 우호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세 번째 대한민국 발전의 상징이 되고 동포들에게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지난 22일 주미한국대사관에서는 1년여동안의 진행과정과 공사현장을 공개 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주미한국대사관이 주관한 이번 설명회에서 안호영 주미대사는 100여명의 한인들에게 이 날 행사의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녹취: 안호영 대사] “중요한 것이 여러 동포 지도자들이 많은 역할을 해주셨는데, 앞으로도 그런 고견을 기탄없이 전달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 실천할 수 는 없겠지만 대한제국공사관을 운용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날 보수복원 공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김종헌 박사가 사진자료와 함께 소개했습니다.

김 박사는 공사 진행상황을 설명하기에 앞서 구한말 대한제국 공관이 일제에 빼앗기던 시대상황도 설명했습니다.

당시 고종이 미 국무부에 일본의 강요로 이뤄진 을사늑약은 무효라고 주장하는 내용을 담은 서류나 고종왕실의 영어교사로 미국에서 온 학자이자 선교사인 호머 허버트 박사가 쓴 책이 청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김 박사는 허버트 박사가 1906년에 쓴 책 “대한제국의 멸망“The Passing of Korea”의 일부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녹취: 김종헌 박사] “망해가는 나라의 황제에게 독립을 예견하는 문장을 썼습니다.”

한인들은 당시 상황에도 일본에 반대하며 조선에 대한 애정을 보여준 미국인에 대해 감동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밖에도 김 박사는 공사관의 건축양식 등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공사관에 대한 이모저모를 소개했습니다.

설명회에 이어진 복원공사현장 방문 시간에는 90여명의 한인들이 안전모를 쓰고 김 박사의 안내에 따라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이번 복원공사는 미국 내 보수복원 전문업체인 CVMNEXT 회사가 시공을 맡았습니다.

공사현장에는 적게는 10명에서 많게는 30명이 작업하고 있는데요, 미국인 로이 웨인 현장감독은 VOA에 공사과정에서 어떤 것도 훼손 해서는 안되고 옛 모습을 복원하며 튼튼하게 보수해야 하는 일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매우 특별하다고 말했습니다.

웨인 감독은 예를 들어 이 건물은 방문 틀 재료로 쓰여진 원목을 여러 겹 벗겨내 독특한 나뭇결을 살렸는데 그런 모습을 복원하는 작업이 시간이 걸리고 정교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로이 웨인 감독]” This stain was made for this project, and the application ..”

특수 주문한 목재를 십 수 차례 벗기고 벗겨내 100년 전 사용된 원목의 결을 재현해 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웨인 감독은 자신은 철저하게 건축설계 청사진을 보고 작업하기 때문에 따로 지시를 받지 않는다고 말했는데요, 이런 점이 미국에서 복원공사를 하는 어려운 점 가운데 하나라고 김 박사는 말했습니다.

[녹취: 김종헌 박사] “아무래도 한국에서 문화재 수리체계와 미국에서 수리하는 게 많이 달라서 그 부분을 조정하는 게 어려웠습니다. 한국에서는 설계자체가 완벽하게 진행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가 융통성 있게 작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에서의 문화재 수리 작업은 일일이 철저한 공문작업 후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배가된다는 설명입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동안 김 박사는 뜻밖의 수확을 얻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종헌 박사] “당시 저택 같은데는 하인들이 따로 별도의 공간이 발견됐습니다. 하인이 다녔던 공간인데, 다른 구조물에 대한 영향이 미쳐서 그대로 복원은 안됩니다. 알리는 것은 필요하지만 구현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벽난로를 뜯었더니 당시 루즈벨트 대통령 딸의 초청장 등 서신과 기록 등이 발견돼 공사 부인들의 외교활동이 있었다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공사관 건물과 이웃해 살며 1년 넘게 실무를 진행하고 있는 김 박사는 1년 전 VOA에 “벽을 뜯어봐야 건물의 훼손상황과 공사관의 숨겨진 이야기들이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예견했었습니다.

다행히도 건물의 훼손은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은 아니며 공사관의 공개되지 않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발견돼 의미가 깊다고 말했습니다.

김 박사는 공사관의 복원은 미국역사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김종헌 박사] “ 랑팡이라는 건축가가 워싱턴 디씨를 설계했는데, 남북전쟁 이후 흑인들이 이 도시로 몰려오면서 슬럼화 됐죠. 우연인지 모르지만 공사관 복원과정은 워싱턴 디씨의 기본 초기 안이 되돌아 오는 회복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로간서클 지역 주민과 시의원 등 미 주류사회에서 공사관 복원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잭 에반스 디씨 시의원, 로간서클 주민협의회 회장지역 주민과 시의원 등 300여명이 대한제국 공관의 문화 역사적 가치를 축하하는 탐방 행사를 가졌습니다.

김 박사에 따르면 워싱턴 디씨의 역사적인 유물과 예술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여있는 스미소니언 박물관 관장과 논의를 가졌고 박물관 개관 후 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할 계획입니다.

한편 김 박사의 안내에 따라 현장을 둘러본 한인들은 100년의 역사가 묻어있는 공사관이 새롭게 태어난다는 기대감을 갖고 공사현장을 꼼꼼히 살폈습니다.

2012년 한인사회의 풀뿌리 운동을 주도했던 인물 가운데 한 명인 정세권 워싱턴 내 민간단체인 미주한인재단 명예회장은 현장을 돌아본 수 눈시울을 적셨습니다.

[녹취: 정세권 회장] “단돈 10불이고 100불이고 기부해서 찾은 것이, 우리가 한국 사람이 피가 살아있다는 것을 산 증거로 이렇게 뜻이 모아져서 우리가 다시 찾았다는 거, 역사를 다시 찾았다는 것이 감개 무량해서 그렇습니다. 우리 후손들에게도 긍지를 갖고 미 주류사회에 진출해서 꿈을 키우는 것이..”

대한제국공사관 복원사업에는 건물 구입 비용 35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천만 달러가 투입됐습니다.

김 박사에 따르면 복원공사는 현재 80% 진행된 상황인데요 마감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구조적인 것이 보완되고 나면, 벽지 도배, 조명, 가구 배치, 한국식 담장 설치 등이 이뤄집니다.

미한우호 역사교육의 장이 될 워싱턴 역사문화박물관은 내년 5월 개관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