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박근혜 대통령 동방경제포럼 참석...남·북·러 움직임 주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왼쪽)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지난 2013년 9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왼쪽)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지난 2013년 9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가 주관하는 동방경제포럼이 오는 9월 2일과 3일 이틀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립니다. 이 포럼은 러시아 정부의 극동 지역 개발 노력의 하나로, 북한과 한국도 중요한 협력국입니다. 김정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9월 러시아에서 열리는 제2회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다고 러시아 대통령실이 발표했습니다.

동방경제포럼은 러시아를 비롯한 각국 정부 당국자들과 기업인들을 초청해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극동개발 사업을 널리 알리고 투자를 유도할 목적으로 마련된 행사입니다.

[녹취: 푸틴 개막연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개막연설로 시작된 지난해 1회 행사에는 남북한을 포함해 24개국에서 약 1천5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시베리아와 연해주 지역을 포함하는 러시아 극동 지역은 지하자원의 보고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북극해와 태평양을 접하고 있어 러시아의 아시아태평양 진출에 핵심적으로 중요한 곳으로 평가됩니다.

현재 러시아는 극동 지역을 대대적으로 개발해 여기서 나오는 지하자원을 아태 지역에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시베리아에서 중국 동북지방과 몽골, 한반도로 이어지는 가스관과 송유관, 전력망 건설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 극동 지역의 철도와 도로를 주변국과 연결하는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밖에 러시아 정부는 태평양과 접한 연해주 지역에 투자를 유치해 이 곳을 상업과 산업 중심지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는 1990년대 초 농업투자를 시작으로 러시아 극동 지역에 진출했고, 1990년대 후반에는 봉제업 등 몇몇 업종이 연해주 지역에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내세운 한국의 박근혜 정부가 극동개발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는 남-북-러 삼각협력 사업에 관심을 가지면서 '라진-하산사업'이 출범하기도 했습니다.

'라진-하산사업'은 러시아산 광물을 철도로 북한 라진항까지 운송한 뒤 다시 배로 한국까지 운송하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이 사업은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주변 정세가 악화하면서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밖에 한국과 러시아 정부는 가스관과 전력망, 철도망 연결 사업을 산발적으로 논의했지만 구체적인 결실을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러시아 극동개발 참여는 주로 남-북-러 삼각협력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라진-하산사업'을 시작하면서 하산에서 라진항으로 들어가는 철도망을 정비했고, 겨울에 얼지 않는 라진항을 사용할 권리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2015년 말에는 러시아의 전력을 라선시에 공급하는 내용의 전력협정을 체결하고, 이를 위해 송전망을 정비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극동개발 참여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던 '라진-하산사업'은 중단된 상태고, 악화된 한반도 상황 탓에 전력협정 외엔 가스관과 철도 연결 사업 등은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는 북한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녹취: 갈루슈카 극동개발부 장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갈루슈카 극동개발부 장관은 2일 '라진-하산사업'의 재개를 기대한다며, 북한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 발전시키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오는 9월 열리는 제2회 동방경제포럼에 참가할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VOA 뉴스 김정우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