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소녀상' 관련 일본 언론 보도 논란..사할린 강제동원 한인 묘 5048기


지난 29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 누군가 씌워 놓은 목도리와 털모자가 눈에 띈다.
지난 29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 누군가 씌워 놓은 목도리와 털모자가 눈에 띈다.

한국의 이모저모를 알아보는 ‘서울통신’, 오늘도 VOA 도성민 기자 연결돼 있습니다.

진행자) 한국과 일본 양국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 이후, 위안부 할머니들을 상징하는 ‘소녀상’이 핵심문제로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

기자) 위안부 할머니들을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 관련 일본 언론의 보도 내용이 양국이 합의한 공동기자회견장에서의 발표와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한국정부의 발표내용에는 없었던 이야기가 나오고, 이번 합의가 졸속으로 이루어진 것 같다는 다수의 시민들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서울 중학동 일본 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을 찾아가 모자를 씌워주고, 담요를 덮어주는 등 관심을 표하는 시민들이 크게 늘고 있는데요. 올해로 24년째 매주 수요일 정오에 열리는 일본대사관 앞 수요집회는 오늘 평소보다 더 많은 인파가 몰려 높아진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과 시민, 학생, 시민단체들이 함께 한 1211번째 수요집회였습니다.

진행자) 이번 사안의 핵심인 ‘소녀상’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이 공식 이름이죠?

기자) ‘평화의 소녀상’은 수요집회 1000회 차를 맞은 2011년 12월 14일 주한 일본 대사관을 자리에 세워졌습니다. 13~15살 소녀 정도의 조선 소녀가 거칠게 뜯겨진 듯한 단발머리를 하고 한복을 입고 맨발 차림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의 청동상으로, 1992년부터 ‘나는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스스로 밝히며 침략전쟁의 잔혹함과 어린 소녀들을 성 노예로 전락시킨 사건을 세상에 알리려 한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을 대변하는 상징으로 한 조각가 부부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평화의 소녀상’은 한국 전역에 33개, 해외에 11등 44개가, 내년에 부산과 목포, 당진 등에 평화의 소녀상이 민간지원으로 지역자치단체 지원으로 세워질 예정인데, 이번 문제로 소녀상의 모습과 의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진행자) 이곳 미국에도 몇 개 도시에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져 있지만 건립이 늘 순조롭게 이루어져오지는 않았습니다. 일본 언론들이 ‘소녀상’과 관련한 집중 기사를 내고 있는 것도 이 부분과 무관치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한국 정부와도 다른 입장인 것이구요?

기자) 그렇습니다. 일본으로서는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소녀상이 계속 있는 것을 바라지 않는 것은 명확입니다. 양국의 협상에서도 일본 정부가 강조했던 부분이 ‘소녀상’을 다른 곳으로 옮겨달라는 것은 분명한 부분인데, 협상 타결 이후 일본 언론들이 보도하고 있는 소녀상 관련 내용은 한국 국민들은 모르는 내용이고, 그것이 정부와 시민들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일본 정부가 지원재단 설립을 위해 출연하는 10억 엔의 전제 조건이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을 철거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소녀상이 이전되지 않으면 10억엔을 지원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일본 언론에서는 한국 정부가 소녀상 이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응할 의사를 보였다고 보도했지만, 한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완전 날조’라고 반박을 했습니다. 그리고 30일 오후 늦게 일본 외무 당국자가 위안부 합의는 양국이 공동으로 발표한 내용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며 일부 일본 언론의 보도는 일본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에 대한 큰 실례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소녀상과 관련해 여론조사가 진행됐더군요?

기자) 여론조사 기관인 리얼미터가 29일, 전국 19살 이상 한국 53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결과는 응답자의 66.3%가 소녀상 이전에 ‘반대’ 19.3%가 ‘찬성’ 을 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70% 이상이 ‘반대’ 였고, 20대는 86.8%, 30대 76.8% 등으로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반대의견이 강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bridge///

진행자) 다음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러시아 사할린에 있는 한국인 묘지 5천여기(基)가 확인됐다는 소식이 있군요?

기자) 일제강점기 러시아 사할린에도 강제동원 됐다가 현지에서 숨을 거둔 한국인들의 묘를 한국 정부가 최종 확인한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를 설립하고 지난 5년간 사할린 한인 묘 현황을 파악했는데 모두 5천48기의 묘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일제강점기라면 70여 년 전에 사할린으로 가게 된 사람들이고 이미 망인이 된 분들인데, 이들의 묘를 확인하는 이유, 무엇입니까?

기자) 나라를 잃은 백성이 강제로 남의 나라 땅에 끌려가 노역을 하다 숨졌다면 국가가 나서 유해라도 고향 땅에 모셔와야 한다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이었습니다. 한국에 남아있는 유족들에게 가족의 사망 기록도 제공하겠다는 취지인데요. 그 동안 러시아 정부와 협의를 거쳐 사할린 남부 지역에 있는 67개의 공동묘지를 샅샅이 뒤져 한인 묘 1만5천110기를 파악했고, 이 가운데 강제노역에 동원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 묘를 5천48기로 집계한 것입니다.

진행자) 일제 강점기에 사할린에 강제 동원된 사람들은 그보다 훨씬 더 많지 않았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미쓰비시, 스미토모, 일본제첼과 가네보 등 당시 일본 기업이 운영하는 77개 노역장에 동원된 한국인은 3만 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번에 최종 확인된 묘는 5천48기, 3만 여명의 17% 정도인 셈입니다.

진행자)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겁니까? 뉴스 보도를 보면 사할린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강제노역자들의 유해 소식도 들을 수 있는데 말이죠?

기자) 사할린 남부 지역 공동묘지에서 확인된 한인들의 유해는 유족 찾기 사업으로 2천170기의 유족이 확인됐습니다. 희망하는 유족에 한해 올해까지 32위의 유골이 돌아와 가족에게 인계 됐습니다. 한시적 기구로 운영되는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위원회’의 대대적인 활동이 올해를 끝으로 마무리 됨에 따라 앞으로는 행정자치부가 이 업무를 승계한다고 합니다. 한편,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위원회’ 의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사할린에 있는 한인들의 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통계가 어떠한지, 성별와 출생연도, 사망연도별, 묘지별 분석이 되어 있고, 얼굴사진이 있는 묘와 본적지, 본관별 검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찾아볼 수 있으며 묘역의 모습도 다양한 각도의 사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위원회’ 의 인터넷 홈페이지www.jiwon.go.kr 입니다.

///bridge///

진행자) 한국에서는 60대 이상의 노인들의 스마트기기 친숙도가 높아지고 있군요. 인터넷을 사용하는 60대 이상 10명 중 7명이 휴대전화로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다면서요?

기자) 컴퓨터를 가까이 하는 60대 이상이 크게 늘었고, 스마트폰 등 똑똑한 휴대기기를 이용하는 60대 이상 인구가 늘면서 인스턴트메신저 (카카오톡, 네이트온, 페이스북 메신져, 라인) 이용도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한국의 60대 이상 인터넷 인구는 59.6%, 70대는 17.9%로, 60대는 9%, 70대는 2.8%포인트 늘었다는 내용이 포함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실태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진행자) 한국에서는 유치원 어린이도 인터넷을 쓰고,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는데, 요즘은 정말 요람에서 무덤까지 인터넷 환경이 따라 다니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올해 7월을 기준으로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을 전면 조사했는데 3세 이상 인구의 85.1%, 4194만명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98.8%입니다. 가정용 컴퓨터 PC보유율 77.1%, 스마트폰 보유율은 86.4%로 나타났습니다.

진행자) 서울통신,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도성민 기자였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