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국무부 "중국, 북한산 마약 밀매 단속 강화"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자료사진)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자료사진)

중국이 지난해 북한산 마약의 불법 밀반입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다고 미 국무부가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마약의 한 종류인 필로폰이 북한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국무부가 18일 지난 한 해 동안의 전세계 불법 마약거래 동향을 담은 ‘2015 국제 마약통제 전략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습니다.

국무부는 이 보고서에서 중국이 북한산 필로폰, 즉 메탐페타민의 밀반입에 대한 단속을 지난해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8월에는 북한 남성이 중국으로 마약을 몰래 들여가 판매한 혐의로 사형에 처해졌다는 언론보도들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이 남성은 중국 동북지역에서 3.75kg의 마약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중국 정부가 처음으로 공개리에 북한을 필로폰의 원산지로 지목했다고 국무부는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정부가 마약 밀매에 연루돼 있는지, 아니면 반대로 중국 정부의 단속에 협조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무부는 북한의 마약 실태와 관련해, 지난 몇 년 간 마약 사용이 늘었고 특히 필로폰이 가장 널리 퍼졌다고 밝혔습니다. 지역적으로는 북-중 국경을 중심으로 마약 사용이 성행하고 있다며,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마약 밀거래 조직의 영향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필로폰이 여성과 젊은층을 비롯해 북한사회 각계각층에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며, 흡연이나 주사를 통한 주입보다 코로 흡입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약품이 부족하고 공공교육이 잘 이뤄지지 않아 마약을 약품 대용으로 쓰는 주민들도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2000년대 초까지 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거나 불법 수출됐던 양귀비의 재배는 줄어들거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국무부는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다만 북한 정부가 관련 문건을 공식 발표하지 않아 탈북자와 방문자 등의 증언을 근거로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 정부가 마약 수요를 줄이려고 하거나 재활시설을 제공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무부는 또 북한 정부가 마약 생산과 거래에 직접 관여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에도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이어 최근 북한 정부가 연루된 마약 사건이 없다는 것은 실제로 그런 사건이 줄었거나 아니면 북한 정부가 이를 숨기는 데 능숙해진 것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