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Baba O’Riley' by Who


영국 록 밴드 The Who
영국 록 밴드 The Who
'Baba O’Riley' by Who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0:00 0:00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팝스 잉글리시의 부지영 입니다. 이 시간은 팝송 가사를 통해서 영어 표현을 배우는 시간인데요. 오늘은 청취자 신청곡인 ‘Baba O’Riley (바바 오라일리)’에 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이 노래는 영국 록 밴드 The Who (후)가 1971년에 발표한 곡인데요.

지난 2004년 미국의 음악전문지 ‘Rolling Stone (롤링 스톤)’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백곡’ 을 발표하면서, 이 노래 ‘Baba O’Riley’를 3백40위에 올려 놓았습니다. 자, 그럼 1절부터 가사 해석해 보도록 하죠.

(1절)
Out here in the fields
여기 밭에 나와

(field는 보통 들판, 벌판을 말하는데요. 농사 짓는 밭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a field of corn’하면 ‘옥수수밭’, ‘a field of barley’하면 ‘보리밭’을 말합니다. field는 또 운동경기장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미국에서 a football field하면 미식축구 경기장을 말합니다. 또 운동회나 야유회를 field day 라고 합니다.)

I fight for my meals
끼니를 때우기 위해 싸우고

(meal은 식사, 끼니를 말하죠? meal time 하면 식사 시간입니다. 또 square meal 하면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균형이 잘 갖춰진 식사, 실속있는 식사를 말하는데요. “You need three square meals a day.”하면 “하루 세 끼 균형 잡힌 식사를 해야 합니다.”란 말입니다.)

I get my back into my living.
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죠

(여기서 ‘get my back into my living’은 ‘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다’란 뜻입니다. ‘put your back into something’ 이란 숙어에서 나온 표현인데요. ‘put your back into something’은 ‘try hard’, 그러니까 ‘열심히 일하다, 열심히 노력하다’란 뜻입니다. 농부들이 밭에서 일할 때 하루 종일 등을 보이면서 구부린 자세로 일하는데요. 그같은 모습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If you want to succeed, you’ve got to put your back into it.” 하면 “성공하고 싶으면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란 뜻입니다.)

I don't need to fight
난 싸울 필요가 없어요

(fight는 ‘싸우다, 투쟁하다’는 뜻이죠. 명사로 쓰일 때는 ‘싸움, 투쟁’을 의미하는데요. 권투 시합 역시 fight라고 합니다. fight가 들어간 숙어 몇가지 살펴보면요. ‘fight like cats and dogs’하면 ‘개와 고양이처럼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대며 싸우다’란 뜻입니다. “We get on very well now, but we used fight like cats and dogs when we were young.”하면 “지금은 잘 지내지만 어렸을 때는 만나기만 하면 서로 으르렁대며 싸우곤 했습니다.”란 말입니다. 또 ‘fight a losing battle’하면 ‘질 것이 뻔한 싸움을 하다’는 뜻입니다.)

To prove I'm right
내가 옳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prove는 ‘증명하다, 입증하다’란 말이죠. 누가 믿기 어려운 말을 하면 “Prove it.”라고 말해 보세요. “증명해 봐. 증명해 보세요.”란 말입니다.)

I don't need to be forgiven.
용서 받아야 할 필요가 없어요.

yeah,yeah,yeah,yeah,yeah
그래요, 그래요

영국 록 밴드 후의 노래 ‘Baba O’Riley’, 1절 가사 해석해 봤습니다. 이 노래 제목을 ‘Baba O’Riley’가 아니라, ‘Teenage Wasteland’라고 알고있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왜냐하면 노래 가사에 ‘Baba O’Riley’는 한번도 나오지 않는 반면, ‘teenage wasteland’란 말은 여러 번 반복돼 나오기 때문이죠. 노래 제목 ‘Baba O’Riley’는 인도의 명상가 메허 바바(Meher Baba)와 미국 작곡가 Terry Riley의 성을 합쳐서 만든 이름인데요. 대부분의 후 노래는 기타 연주자 피터 타운센드 (Peter Townshend)가 작곡을 했는데요. 타운센드는 이 두 사람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계속해서 연결구 해석해 보죠.

(연결구)
Don't cry
울지 말아요

(cry는 ‘울다’는 뜻인데요. ‘cry my eyes out’하면 ‘눈이 빠지도록 울다’ 란 말이죠. “I cried my eyes out when my cat died.”하면 “내 고양이가 죽었을 때 눈이 빠지도록 한참 울었습니다.”란 말입니다. cry는 또 ‘외치다, 고함치다’란 뜻으로도 쓰이는데요. ‘a far cry from’, 직역하면 ‘멀리서 들리는 울부짖음, 고함’이란 뜻인데요. ‘큰 차이가 있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It is a far cry from the truth.”하면 “사실과 많이 다릅니다.”란 말입니다.)

Don't raise your eye
눈을 들지 말아요

(원래 “Don’t raise your eyes.”라고 eyes, 복수를 써야 맞는데요. 앞 소절의 cry와 운율을 맞추기 위해 eye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눈을 들지 말라는 건 결국 “Don’t look.”, 보지 말란 소리죠.)

It's only teenage wasteland
단지 십대의 황무지일 뿐이에요

(wasteland는 황무지, 불모지란 뜻이죠. 황폐한 땅, 쓸모 없는 땅을 말합니다. 또 정신적, 문화적으로 황폐한 지역, 시대, 생활을 의미하기도 하죠.)

연결구 해석해 봤습니다. 후의 노래 대부분은 리드 싱어인 로저 덜트리 (Roger Daltrey)가 불렀는데요. 방금 들으신 연결구는 피트 타운센드가 불렀습니다. 타운센드는 1969년에 발표한 록 오페라 ‘토미 (Tommy)’의 속편으로 ‘Lifehouse (라이프하우스)’란 새 오페라를 구상하고 있었는데요. 이 오페라에 쓰려고 ‘Baba O’Riley’를 작곡했다고 합니다. 오페라 대본에서 ‘라이프하우스’는 연주회 이름인데요. 스코틀랜드에 사는 농부 레이 (Ray)가 ‘라이프하우스’ 공연을 보려고 집을 나간 딸을 찾기 위해 아내 샐리 (Sally)와 함께 나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계속해서 2절 해석해 보죠.

(2절)
Sally, take my hand
샐리, 내 손을 잡아요

(여기서 Sally는 앞서 말씀 드린대로 후가 구상하고 있던 록 오페라 ‘Lifehouse’에 나오는 농부의 아내 이름인데요. 하지만 특정한 사람을 의미한다기보다 인생을 허비하고 있는 젊은이들을 의미한다는 그런 생각도 듭니다.)

We'll travel south cross land
저기 남쪽으로 가요

(여기서 ‘cross land’는 ‘across the land’라고 해야 문법상 맞습니다. 하지만 노래에서 운율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across’의 a, 그리고 the를 생략했습니다.)

Put out the fire
불을 끄고

(‘put out a fire’ 는 ‘불을 끄다, 화재를 진압하다’란 뜻의 숙어입니다. ‘extinguish a fire’와 같은 말이죠.)

And don't look past my shoulder.
뒤돌아 보지 말아요.

(내 어깨 너머를 보지 말라는 뜻이니까 “Don’t look back.”, ‘뒤돌아 보지 말아요.”란 말입니다.)

The exodus is here
대탈출이 시작됐어요.

(exodus는 많은 사람들이 떠나는 걸 의미하죠. The Exodus라고 하면 구약성경에 나오는 유태인들의 이집트 대탈출을 가리키구요. 구약성서의 출애굽기도 Exodus 입니다.)

The happy ones are near
행복한 날들이 가까이 있어요

(여기서 happy ones는 happy days, happy times, 즉 행복한 날들, 행복한 시간으로 해석됩니다.)

Let's get together
함께 모여요

(‘get together’ 는 ‘함께 모이다’란 뜻인데요. “Let’s get together for dinner some time.”하면 “언제 함께 모여서 저녁 식사 같이 해요.”란 말입니다.)

Before we get much older.
우리가 더 늙기 전에.

2절 가사 해석해 봤습니다. 앞서 이 노래는 ‘Lifehouse (라이프하우스)’ 란 록 오페라를 위해 쓰여진 곡이라고 말씀 드렸죠. 하지만 이 오페라 계획은 무산되고 마는데요. 피트 타운센드 본인 외에는 아무도 이 오페라 내용을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후는 이 오페라에 쓰려고 작곡한 곡들을1971년 ‘Who’s Next (후즈 넥스트)’ 앨범에 담아서 발표했구요. 이렇게 해서 ‘Baba O’Riley’도 빛을 보게 됐습니다. ‘Who’s Next’ 앨범은 후의 앨범들 가운데서 가장 훌륭한 앨범이란 평을 듣고 있는데요. ‘롤링 스톤’ 잡지가 뽑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28위에 올라 있습니다. 계속해서 후렴구입니다.

(후렴)
Teenage wasteland
십대의 황무지

It's only teenage wasteland.
십대의 황무지일 뿐이에요.

Teenage wasteland
십대의 황무지

Oh, yeah
오, 그래요

Teenage wasteland
십대의 황무지죠

They're all wasted!
모두 허비됐어요!

(이 구절을 두고 여러가지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속어로 wasted는 drugged up과 같은 뜻으로도 쓰입니다. 마약이나 술에 찌들었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이 구절을 10대 청소년들이 모두 마약에 찌들어 있다는 뜻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wasted에는 ‘살해된’이란 뜻도 있습니다. 아까운 생명이 낭비됐다는 뜻이죠. 이 노래가 발표된 1971년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일 때였습니다. 그래서 많은 젊은이들이 베트남 전쟁에 나가 희생됐다는 의미라며 ‘Baba O’Riley’는 반전 노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노래를 쓴 피트 타운센드는 인생을 헛되이 보내는 젊은이들에 관한 노래라고 설명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불평만 하고,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특히 타운센드는 당시 유행하던 히피 (hippie) 문화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히피는 기성의 가치관과 제도를 거부하면서 자유로운 생활양식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말하죠. 1960년대 중반에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생겨나 전 세계로 퍼졌는데요. 타운센드는 이들 히피들이 아무 것도 하지않고 인생을 허비한다고 생각했다는 겁니다.)

여기서 오늘 나온 표현 몇 가지 살펴볼까요? ‘put your back into something’은 ‘열심히 일하다, 열심히 노력하다’, ‘cry my eyes out’하면 ‘눈이 빠지도록 울다’, ‘a far cry from’은 ‘큰 차이가 있는’, ‘put out a fire’ 는 ‘불을 끄다, 화재를 진압하다, ‘get together’ 는 ‘함께 모이다’란 뜻입니다.

팝송으로 배우는 영어, 팝스 잉글리시, 오늘은 청취자 신청곡인 후의 ‘Baba O’Riley’에 관해 알아봤는데요. 후의 ‘Baba O’Riley’, 다시 한번 들으면서 팝스 잉글리시, 오늘 시간 마치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JJB)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