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인터뷰] 고든 플레이크 "북한 로켓 발사로 대미협상 여지 사라져"


12일 필리핀 마닐라의 기자회견장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질문에 답하는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오른쪽).
12일 필리핀 마닐라의 기자회견장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질문에 답하는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오른쪽).
북한의 로켓 발사가 미국과 북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입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 맨스필드 재단의 고든 플레이크 소장을 전화로연결하겠습니다.

질문1) 북한이 결국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워싱턴의 전문가들이나 정부 당국자들의 예상보다 빠른 겁니까?

질문2) 북한이 왜 이 시점에 로켓 발사를 강행했다고 보십니까?

질문3) 지난 2009년이었죠.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한 지 석달만에 북한이 로켓을 쐈습니다. 이번에는 2기 행정부가 출범하기도 전에 쏜 건데요.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시도할 여지를 없앴다고 봐야 합니까?

질문4)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입증한 만큼 대륙간 탄도미사일 능력도 그만큼 향상됐다고 볼 수 있을텐데요. 일부에서는 미국이 이른바‘전략적 인내’정책을 계속할 게 아니라, 북한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야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5) 미국은 북한의 이번 발사를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다, 도발행위다, 이렇게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당연히 제제가 뒤따를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이 어떤 제제를 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6)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도 대응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7) 중국의 입장도 굉장히 중요하겠죠. 안보리 상임이사국인데다 북한과 우호관계에 있으니까요. 중국이 이번에는 더 적극적으로 대북 제재에 동참할까요?

질문8) 지금 시진핑 체제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중국과 북한 관계가 어떻게 흘러갈지도 관심이 가는데, 중국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하자마자 북한이 로켓 발사 계획을 발표했거든요, 그리고 결국 발사를 강행했습니다. 북중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9) 한국의 대통령 후보들 모두 북한과 대화에 다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차기 정부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공조에 이번 로켓 발사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