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가장 최근 미-북 간 양자접촉에서도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중단을 주장했다고 미 외교전문지가 보도했습니다. 자신들의 비핵화가 전적으로 미국의 태도에 달려있다는 겁니다. 백성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과 북한 고위관리들은 지난 달 중국 다롄에서 비공식 양자 접촉을 가졌습니다.
북한 관리들은 이 자리에서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중단하지 않으면, 북한도 비핵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가 15일 보도했습니다.
‘포린폴리시’는 미 정부 관리 2명을 인용해 북한이 미국의 태도가 변해야 자신들도 핵계획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했다고 전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들 미 관리들 모두 미-북 간 비공식 접촉에서 북한 비핵화회담 재개와 관련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포린폴리시’에 밝혔습니다.
지난 달 중국 다롄에서는 6자회담 참가국 당국자와 학자들이 참석하는 ‘동북아시아협력대화’가 27일부터 이틀간 열렸으며 미-북 대표들은 27일 저녁 별도로 만나 1시간 가량 비공식 양자 접촉을 가졌습니다.
미국 대표로는 클리퍼드 하트 6자회담 특사가 참석했으며 북한에서는 한성렬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와 최선희 외무성 미국국 부국장 등이 나섰습니다.
당시 최 부국장은 회담 결과를 묻는 취재진에게 북측 입장을 명확히 얘기했으며 미국은 적대시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 8월에는 싱가폴에서 미국의 전직 관리와 전문가들이 북한의 한성렬 대사와 최선희 부국장을 만났습니다. 또 7월에는 미국의 클리포드 하트 6자회담 특사가 뉴욕에서 한 대사와 접촉했습니다.
오바마 행정부의 한 소식통은 ‘포린폴리시’에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 사망, 2.29합의 위반, 4월 미사일 발사로 이어지는 기간 동안 미-북 간 접촉이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포린폴리시’는 지난달 ‘동북아시아협력대화’에 북측에서 한 대사와 최 부국장을 포함해 외무성과 베이징 주재 북한 대사관 관리 등 총 7명이 참석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
미국과 북한 고위관리들은 지난 달 중국 다롄에서 비공식 양자 접촉을 가졌습니다.
북한 관리들은 이 자리에서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중단하지 않으면, 북한도 비핵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가 15일 보도했습니다.
‘포린폴리시’는 미 정부 관리 2명을 인용해 북한이 미국의 태도가 변해야 자신들도 핵계획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했다고 전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들 미 관리들 모두 미-북 간 비공식 접촉에서 북한 비핵화회담 재개와 관련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포린폴리시’에 밝혔습니다.
지난 달 중국 다롄에서는 6자회담 참가국 당국자와 학자들이 참석하는 ‘동북아시아협력대화’가 27일부터 이틀간 열렸으며 미-북 대표들은 27일 저녁 별도로 만나 1시간 가량 비공식 양자 접촉을 가졌습니다.
미국 대표로는 클리퍼드 하트 6자회담 특사가 참석했으며 북한에서는 한성렬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와 최선희 외무성 미국국 부국장 등이 나섰습니다.
당시 최 부국장은 회담 결과를 묻는 취재진에게 북측 입장을 명확히 얘기했으며 미국은 적대시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 8월에는 싱가폴에서 미국의 전직 관리와 전문가들이 북한의 한성렬 대사와 최선희 부국장을 만났습니다. 또 7월에는 미국의 클리포드 하트 6자회담 특사가 뉴욕에서 한 대사와 접촉했습니다.
오바마 행정부의 한 소식통은 ‘포린폴리시’에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 사망, 2.29합의 위반, 4월 미사일 발사로 이어지는 기간 동안 미-북 간 접촉이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포린폴리시’는 지난달 ‘동북아시아협력대화’에 북측에서 한 대사와 최 부국장을 포함해 외무성과 베이징 주재 북한 대사관 관리 등 총 7명이 참석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