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국과의 비공식 접촉에서 대북 제재 철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백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국과의 비공식 접촉에서 지난 4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추가된 대북 제재 철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회담에 정통한 미국 측 인사는 23일 익명을 전제로, 북한 대표단이 기존의 대북 제재 대신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가장 최근에 부과한 제재를 중점적으로 언급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북한이 지난 4월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자 이를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하면서 대북제재위에 15일 이내에 제재대상 기업을 추가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제재위는 이에 따라 지난 5월 2일 북한의 압록강개발은행과 청송연합, 조선흥진무역회사를 추가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북한 측은 또 미국 측 참가자들이 수해 지원이 필요한지 묻자 미국이 하고 싶으면 하라는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수해 지원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 변화를 기대하진 말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겁니다.
싱가포르에서 북한 대표단과 만난 미국 측 인사 가운데는 로버트 칼린 전 국무부 정보조사국 북한담당관이 포함된 사실도 새로 확인됐습니다.
회담에는 이밖에 조엘 위트 전 국무부 북한담당관, 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차장, 코리 힌더스틴 핵위협 이니셔티브 부회장이 참석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백성원 입니다.
북한이 지난 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국과의 비공식 접촉에서 지난 4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추가된 대북 제재 철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회담에 정통한 미국 측 인사는 23일 익명을 전제로, 북한 대표단이 기존의 대북 제재 대신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가 가장 최근에 부과한 제재를 중점적으로 언급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북한이 지난 4월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자 이를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하면서 대북제재위에 15일 이내에 제재대상 기업을 추가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제재위는 이에 따라 지난 5월 2일 북한의 압록강개발은행과 청송연합, 조선흥진무역회사를 추가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북한 측은 또 미국 측 참가자들이 수해 지원이 필요한지 묻자 미국이 하고 싶으면 하라는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수해 지원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 변화를 기대하진 말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겁니다.
싱가포르에서 북한 대표단과 만난 미국 측 인사 가운데는 로버트 칼린 전 국무부 정보조사국 북한담당관이 포함된 사실도 새로 확인됐습니다.
회담에는 이밖에 조엘 위트 전 국무부 북한담당관, 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차장, 코리 힌더스틴 핵위협 이니셔티브 부회장이 참석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백성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