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중국 '한반도 안정 위해 북한 안전보장 필요'


푸잉 중국 외교부 부부장. (자료사진)
중국의 푸잉 외교부 부부장이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안정을 위해선 북한에 대한 주변국들의 안전보장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 핵 문제 해결을 우선시하는 미국과 한국 등 다른 6자회담 관련국들과 입장 차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푸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전체적으로 볼 때 한반도 정세의 핵심에는 동북아 모든 나라의 공동 안보 문제가 있고, 여기에는 북한의 안전도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푸 부부장의 이 같은 발언은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아 23일 한국의 `연합뉴스’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나왔습니다.

푸 부부장의 주장은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북 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미국과 한국 등 관련국들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특히 북한이 김정은 체제 들어서 새 경제정책을 모색하고 있고,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경협 방안을 적극 논의하는 등 일련의 변화 조짐에 다른 나라들도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는데 함께 하자는 메시지라는 분석입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장용석 박사입니다.

[녹취: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 “북한의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변화들을 모색하는 징후들이 나타나면서 이를 원만히 실현해 나가면서 궁극적으로 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북한의 안전보장이 상당히 중요한 문제임을 강조한 의미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중국 당국의 이런 입장은 미-북 관계 개선을 앞세우고 있는북한의 태도와 일맥 상통하고 있지만, 북 핵 문제 해결이 우선이라는 미국과 한국의 입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입니다.

[녹취: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 “북한이 주장하는 소위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으로 인한 안보 사항의 우려 역시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해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조 대변인은 이와 함께 현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북한이 9.19 공동성명을 비롯한 국제적 합의와 의무를 충실하게 이행하고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이 진정한 개혁개방으로 나오면 한국 정부도 지원할 수 있지만 최근의 움직임이 진정한 개혁개방을 향한 것인 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중 관계 전문가인 통일연구원 전병곤 박사는 북한정세의 안정을 바라는 중국으로선 북한을 정상국가로 유도하는 데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자신들의 경제개혁 경험을 전수 하려고 애쓸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서울에서 미국의 소리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