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동남아시아 외교 강화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오른쪽)이 쯔언 떤 상 베트남 국가주석과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오른쪽)이 쯔언 떤 상 베트남 국가주석과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북한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외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매달 고위급 인사들이 동남아 국가들을 방문하고 있는데요,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6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쯔언 떤 상 국가주석 등 베트남 지도자들을 잇따라 만났습니다.

김영남 상임위원장은 회담에서 북한과 베트남간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습니다. 두 나라는 이를 위해 고위급 지도자들과 각급 대표단 교환 방문을 계속하고, 상호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인적 교류 뿐만 아니라 농업과 문화, 예술, 스포츠, 교육 훈련 등 다른 분야의 협력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김영남 위원장은 베트남 일정을 마친 뒤 7일에는 두 번째 방문국인 라오스에 도착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베트남과 라오스 순방에는 리용남 무역상과 강민철 채취공업상, 궁석웅 외무성 부상 등이 수행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보다 앞서 지난 5월에는 리광근 합영투자위원장과 안정수 경공업상 등 각료들과 함께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북한은 이어 6월에는 김영일 노동당 국제담당 비서가 라오스와 베트남, 버마를 방문했고, 7월에는 박의춘 외무상이 아시아지역 안보포럼이 열린 캄보디아에서 베트남,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아세안 5개국과 양자회담을 가졌습니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방문연구원인 한국 동국대학교 김용현 교수는 북한이 최근 동남아 국가들과의 외교를 강화하는 배경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용현 존스홉킨스 방문연구원] “동남아 방문은 결국 북한의 식량 사정이 고려된 차원에서 식량외교의 측면이 있고, 그 다음에 북한 나름대로 동남아 외교를 강화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들을 타개하고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의 중국 등 주요국 대상 외교에서 다변화 외교로의 전환 같은 부분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있다, 그렇게 봐야 할 것 같은데요”

북한은 특히 베트남과 고위 지도자 회담 뿐 아니라 각급 수준에서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7월 한 달 동안에만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대표단과 국가품질감독위원회 대표단, 조선직업총동맹 대표단이 베트남을 방문했고, 베트남 외무성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이 베트남의 개혁개방 모델을 참고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현 교수는 아직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하지만 그 같은 분석을 염두에 둘 필요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용현 존스홉킨스 방문연구원] “중국식 개혁개방을 중국이 요구하는 과정에서 북한 나름대로 북한식 특수성에 기반한 경제 개혁개방을 하는데 있어서 베트남식 개혁개방 정책을 참고하고 그것을 좀 원용한다, 이런 차원에서의 외교 활동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김 교수는 또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북한이 다양한 수준의 외교 활동을 통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 4월 김정은 체제가 공식 출범한 이후 베트남, 라오스,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북한의 적극적인 동남아 외교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