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특별 기획] 제3의 탈북자, 일본인 처 - 4회


'미국의 소리' 방송이 중국과 일본 현지 취재로 전해드리는 특집기획 '제 3의 탈북자-일본인 처', 오늘은 그 네번째 순서로, 탈북 일본인 처들을 수년 째 도와온 일본 내 시민단체와 학계 관계자들의 견해를 전해드립니다. 이들은 탈북 일본인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납북자 뿐 아니라 자진해 북한에 갔던 일본 내 한국인들과 일본인 처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체계적인 탈북자 지원 시스템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지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1959년 시작된 재일 조총련의 북송사업으로 북한으로 갔던 일본 내 한국인들과 그들의 일본인 아내, 자식들이 최근 잇따라 탈북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이들의 안전과 귀국 이후 생활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지원 요구에 침묵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북조선 귀국자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모임'을 운영해 온 일본 오사카 경제대의 야마다 후미야키 교수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960년대 자진해 북한으로 떠났던 이들은 북한의 실상에 대해 전혀 모르고 갔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도움을 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일본 정부가 탈북 일본인들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이들이 자신의 의지로 북한에 갔으므로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여기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그러나 당시 북한 당국과 조총련은 북한에 가면 안전한 생활이 보장되고, 교육과 의료시설을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대대적으로 거짓 선전했기 때문에, 이를 믿고 북한으로 갔던 일본인들도 일종의 납치 피해자이며, 일본 정부는 이를 바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현재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 중이며, 일본 정부가 북한을 탈출한 일본 내 한국인들과 그들의 일본인 처들을 지원해야 하는 정당한 이유를 반드시 법원에서 증명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또 중국으로 탈북한 귀국자와 일본인 처들에 대해 먼저 주중 일본대사관과 일본 당국은 이들이 중국에서 안전하게 일본까지 돌아올 수 있도록 끝까지 보호해줘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아울러 일본 정부는 이미 일본에 돌아온 탈북 일본인 처들의 북한 내 남은 가족들에 대한 안전보장을 북한 정부 측에 강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탈북한 재일 조선인들과 일본인 처들은 북한에 남은 가족들에 대한 걱정으로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재일본 대한민국 민단 중앙본부' 탈북자 지원센터에서 지난 4년 간 탈북 일본인 처와 한국인들을 도와온 김철삼 부국장은 일본 도쿄에서 가진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사람으로도, 일본 사람으로도 살지 못하는 귀국 탈북여성들의 생활상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습니다.

김철삼 부국장: “본인이 열심히 하는데 일본 사회 자체에 적응할 수 없어서 힘든 상태를 보면서 가슴이 아픕니다. 가족들이 북한에 남아 있어 심리적으로 역시 힘든 상태입니다. 원래 친척들이 여기 있기는 있는데 만날 수 없는 상태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탈북 과정에서 받은 엄청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로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하지 않은 것도 큰 우려사안이라고, 김 부국장은 밝혔습니다.

북한에서 식량 부족 등의 생활고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데다 탈북 이후 중국에서도 공안에 붙잡히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일본에 도착한 이후에도 적응하는 데 있어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겪는다는 설명입니다.

변화된 일본 사회에 적응하는 것이 탈북자들이 겪는 첫번째 어려움입니다.

김철삼 부국장: “돈 문제도 있고, 생활 방식이 다릅니다. 북한과 일본은. 일본인 처는 옛날에 일본에 살았는데 지금 현재 40년만에 돌아와 일본 자체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사회 자체가.”

특히, 일상에서 겪는 소소한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데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김철삼 부국장: “은행에 와서 ATM 기계 시스템도 전혀 모르고, 교통 버스, 지하철 표 사는 방법도 모르고, 두번째, 취직 문제, 또 가타가나 외래어가 많아서 뭐가 뭔지 모르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특히 일본 사회에서 단 한번도 살아보지 않은 탈북 일본인 처의 자식들은 일본어와 함께 사회 적응에 더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본주의 사회 체제를 전혀 몰라 자칫하면 사회 부적응자가 되기 쉽상이라고, 김 부국장은 지적했습니다.

특히 일본인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더 큰 부담입니다.

김철삼 부국장: “일본 사람들의 북한에 대한 이미지는 납치, 미사일, 핵 문제, 나쁜 이미지만 있습니다. 100%. 100%죠. (북한은) 일본 사람의 적이죠, 완전히. 그래서 힘들어요. 일본 사회에서 탈북자들이 살아가는 게 더 어려운 상태입니다.”

결국 일본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그래도 말이라도 통하는 한국으로 되돌아 가는 탈북자들도 있다고, 김 부국장은 전했습니다.

김철삼 부국장: “일본 사회에서 납치 문제 때문에 북한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서 큰 소리로 '제가 북한에서 왔습니다', 그렇게 소개할 수 없습니다. 두 명 정도 한국에 간 사람도 있습니다. 일본말 힘드니까.”

김 부국장은 가장 우선적으로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체계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김철삼 부국장: “2년 전 북한인권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됐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지원이 하나도 없습니다. 일본 국회에서 납치 문제가 가장 중요한 것인데, 탈북자 문제는 관심이 거의 없습니다. 일본에 계시는 탈북자는 한국의 탈북자와 완전히 다릅니다. 한국 같은 경우는 완전히 법도 있고, 시설도 있고 완전 시스템이 있죠. 일본에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북한 사람들은 돌아올 수 없습니다.”

현재 민단 탈북자지원센터는 단체 기부금만으로 일본으로 돌아온 탈북자들을 조금씩 돕고 있지만, 이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기부금이 부족해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소리' 방송이 중국과 일본 현지 취재로 전해드리는 연속 보도 '제 3의 탈북자-일본인 처', 내일은 5회, 마지막 순서로 일본 외무성의 사이가 후미코 북한 인권특사와의 대담을 통해 탈북 일본인 처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과 향후 탈북자 정책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