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선 르포] 새내기 탈북민들, 투표소 찾았지만 투표 못해

한국에 최근 정착한 탈북민들이 19대 대통령 선거에 참가하기 위해 거주지 투표소를 찾았지만, 투표를 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한국 내 탈북민 사회정착교육기관인 하나원을 최근 수료한 많은 탈북민들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를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첫 투표에 나섰던 탈북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서울에서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한국대선 르포] 새내기 탈북민들, 투표소 찾았지만 투표 못해

지난달 26일 하나원 228기로 한국사회에 나온 50대 탈북민 주광숙(가명) 씨.

태어나서 처음으로 자신이 원하는 지도자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설레임에 9일 일찍 투표장으로 향합니다.

[녹취: 주광숙 씨] “어떻게 선거를 안 참가할 수 있는가? 이제는 대한민국에 와서 이 나라 국민이 됐으면 참가해야겠구나 고저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북한에서는 이런 자유로운 투표 기회를 전혀 누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녹취: 주광숙 씨] “새벽에 일찍 가서 일찍 끝내고 몇 시까지 끝내라는 규정이 또 있더라고. 우리는 반대투표란 거 없습니다. 선거에 안 참가하면 완전히 간첩이라 하고 반동이라 하고. 정치적으로 걸고 들어서기 때문에 무서워서라도 다 해야 합니다.”

하나원에 석 달 동안 머물며 자신들을 대표하는 총무를 이미 선출한 경험도 있어 한 표의 소중함을 잘 알고 있다고도 말합니다.

[녹취: 주광숙 씨] “하나원에서 투표를 해 보니까 고저 한 사람이 투표를 해서리 또 당선이 되고 한 점수가 모자라 떨어지고 하니 내 한 사람이 투표를 해주면 그만큼 점수가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 씨는 한국사회에 나온 지 이제 열흘 정도 밖에 안됐지만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누구를 뽑을지 마음을 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주광숙 씨] “이 사회를 공평한 사회, 뇌물을 바쳐야 직업을 따는 사회로 만들지 않고, 어쨌든 좋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 저 사람이 되면 우리 아이나 조카들도 직업 때문에 많이 고심하지는 않겠구나, 하는 의미에서 이 사람에게 투표하고픈 생각입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투표를 하는 주 씨를 돕기 위해 달려온 한 탈북민 목사는 투표가 바로 “특권”이라며 주 씨를 격려합니다.

[녹취: 탈북민 목사] “그 때는 내가 원하는 사람을 뽑을 수 없었어요. 그렇지만 여기 와서는 우리에게 그런 권리가 주어졌고 우리가 투표함으로서 더 많은 사람들, 심지어 나에게도 더 좋은 사람을 뽑을 수 있잖아요. 이 것은 기회이고 특권입니다. 이 게 민주주의의 특징이고 그러니까 이게 좋은 것이고 옳은 겁니다.”

주 씨는 설레는 마음으로 투표소에 들어갔지만 얼마 되지 않아 밖으로 나왔습니다.

[녹취] (주광숙 씨) “내가 4월 11일까지 여기서 등록을 했어야 했답니다.”

(투표소 관계자) “여기 전 주소지가 어디셨어요?”

(주씨 가족) “우리 탈북민이에요”

(투표소 관계자) “한 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지난달 11일 선거인명부 작성을 끝냈기 때문에 26일 사회로 나온 주 씨는 거주지에서 투표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투표권은 있지만 주민등록증에 적힌 알지도 못하는 먼 주소지로 가야 투표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하나원 관계자는 ‘VOA’에 탈북민들이 하나원 수료 직전인 지난 24일 선관위 지역관계자를 초청해 대선 일정과 투표 방법을 자세히 교육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전입신고 지역 내 선거인명부에 탈북민 이름이 들어갈 여유가 없기 때문에 거주지에 관계없이 투표가 가능한 사전투표를 할 것을 관계자가 탈북민들에게 여러 차례 권고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주 씨는 사전투표가 무엇인지 교육을 받았지만 투표일인 9일에 투표할 수 없다거나, 반드시 사전투표를 해야 한다는 얘기를 전혀 듣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는 하나원 동기 여러 명도 전화로 확인한 결과 투표를 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렸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사회에 갓 나온 탈북민들을 설레이게 했던 첫 투표는 결국 정부 관계기관들의 매끄럽지 못한 조율과 탈북민들에게 너무도 낯선 선거제도 때문에 물거품이 됐습니다.

[녹취] (기자) “좀 당황스러우시겠습니다.”

(주광숙 씨) “아닙니다. (한숨…말을 잇지 못함)"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