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팝송으로 배우는 영어] 9 to 5 - by Dolly Parton


공연중인 돌리 파튼 (Dolly Parton)
공연중인 돌리 파튼 (Dolly Parton)

안녕하세요? 팝송으로 배우는 영어, 팝스 잉글리시의 부지영입니다. 얼마 전에 한국 통일부 발표를 보니까요.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지난 9월 말 현재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 수는 4만8천2백여 명에 달했다고 하는데요. 지난 2004년 12월에 개성공단에서 첫 제품이 생산된 이후 가장 많은 숫자라고 합니다.

이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은 1주일에 48시간 근무가 기본이라고 하던데요.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1주일에 5일, 하루 8시간씩 주 40 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점심 시간을 따로 쳐서 아침 8시 반까지 출근하게 하는 곳도 있지만요. 보통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가 근무시간인데요. 그래서 ‘9 to 5’, ‘9시부터 5시까지’하면, 직장인들의 하루 근무시간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 ‘9 to 5’란 제목의 노래가 있습니다. 1980년에 나온 같은 제목의 영화 주제가인데요. 영화배우이자 가수인 돌리 파튼(Dolly Parton)이 불렀습니다. 팝스 잉글리시, 오늘은 돌리 파튼 (Dolly Parton)의 노래 ‘9 to 5’의 가사를 해석해 보고, 노래에 얽힌 사연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1절입니다.

(1절)
Tumble outta bed and I stumble to the kitchen
침대에서 굴러나와 비틀거리며 부엌으로 가죠

네, ‘tumble out of ~’하면 ‘~에서 굴러 나오다, 굴러 떨어지다’란 말입니다. 예문 들어보시죠. “Don’t let the baby tumble out of the chair.”하면 “아이가 의자에서 굴러 떨어지지 않게 하세요.”란 말이고요. 반대로 ‘tumble into ~’하면 ‘~로 굴러 들어가다’란 말이죠. “He tumbled into bed and fell asleep.”이라고 하면, “그 사람은 침대로 기어들어가서 잠들었습니다.” 하는 말이죠.

Pour myself a cup of ambition
의욕을 재충전하고

여기서 ‘a cup of ambition’, 이 말은 직역하면 ‘야심 한 잔’, ‘의욕 한 잔’이란 말인데요. ‘의욕 한 잔을 내 자신에게 끼얹다’란 말이니까, 오늘 하루를 잘 보낼 수 있게 준비하다란 의미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사람들은 보통 아침에 일어나면, 부엌에 가서 커피 한 잔을 끓여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하곤 하는데요. 그런 습관을 이렇게 표현한 것 같습니다.

Yawnin', stretchin', try to come to life
하품을 하고 기지개를 펴면서 정신을 차리려고 애쓰죠

‘come to life’ 이 말은 두 가지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문자 그대로 ‘소생하다, 다시 살아나다’란 뜻입니다. “After receiving CPR, the child came to life.” “심폐소생술을 받고서, 아이가 다시 살아났습니다.”란 말이고요. 또 문맥에 따라서 ‘come to life’는 ‘활기를 띠다’란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After midnight, the party came to life.”하면 ‘자정이 지나자, 모임이 활기를 띠었습니다.”란 말이 되겠죠.

Jump in the shower and the blood starts pumpin'
샤워실에 뛰어들면, 피가 솟구치기 시작하죠

네, 미국 사람들은 물에 몸을 푹 담그는 목욕보다는 아침에 샤워를 많이 합니다. 쏟아지는 물 아래 서서 몸을 씻는 거죠.

Out on the streets the traffic starts jumpin'
길거리에 나서니 교통지옥이 시작돼요.

And folks like me on the job from nine to five
9시부터5시까지 일하는 나 같은 직장인들로 붐비죠

folk는 명사로 일반적인 사람들을 말하는데요. “Some folks think that the house is haunted.” 하면 “어떤 사람들은 저 집에 유령이 산다고 생각해요.”란 말입니다. 또 부모를 얘기할 때 이 말을 씁니다. “My folks are not home tonight.”하면 “오늘밤 부모님께서 집에 안 계십니다.”란 말이죠.”

네, 1절 가사 해석해 봤는데요. ‘9 to 5’ 이 노래는 1980년에 나온 같은 제목의 영화 주제가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 주제가를 부른 돌리 파튼 말고도 제인 폰다, 릴리 톰린, 대브니 콜먼 등이 출연했습니다. three working women, 그러니까 직장에 다니는 세 여성이 여성차별적이고 출세지향적인 상사 아래서 고충을 겪는데요. 이 상사의 횡포에 맞서 싸우려고 노력을 하다가, 마침내 성공한다는 내용의 희극 영화입니다.

(후렴구)
Workin' nine to five
9시부터 5시까지

What a way to make a livin'
힘들게 살아가죠

‘make a living’은 ‘생계를 꾸리다’란 말이죠. “I make a living from selling cars.” “전 자동차를 팔아서 생계를 꾸리고 있습니다.”란 말입니다. 뒤에 from 대신에 by를 쓰기도 하는데요. “Can you make a living by writing blogs?”하면 “블로그, 그러니까 인터넷에 올리는 일지를 써서 생계가 됩니까?”하는 말입니다.

Barely gettin' by
겨우 겨우 살아가죠

‘get by’는 ‘그럭저럭 살아가다’란 말이죠. “How can we get by with such little money?”하면 “그렇게 적은 돈으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어요?”하는 말입니다.

It's all takin' and no givin'
가져가기만 하고 아무 것도 주지 않아요

They just use your mind
당신의 마음을 이용만 하고

And they never give you credit
결코 당신을 인정해주지 않죠

네, 앞 소절과 연결해서 해석하면, 상사나 회사가 당신의 아이디어를 빼앗아가기만 하고, 그에 따른 인정이나 보상은 해주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credit은 보통 신용이란 뜻으로 많이 쓰지만, 인정, 칭찬이란 뜻도 있는데요. 여기서 그런 뜻으로 쓰였습니다. “You deserve credit for a job well done.” “일을 잘 해내면, 당연히 인정을 받아야 합니다.”란 뜻입니다.

It's enough to drive you crazy if you let it
그냥 내버려두면 당신을 미치게 할 정도죠

‘drive someone crazy’는 ‘누구를 미치게 만다’란 말이죠. ‘drive someone mad’ ‘drive someone insane’ 다 같은 말입니다. “The bugs are driving me crazy.”하면 “벌레 때문에 미치겠어요.” “I cannot stop thinking about you. You drive me crazy.”하면 “당신 생각을 멈출 수가 없어요. 당신은 날 미치게 해요.”란 말입니다.

Nine to five
9시부터 5시까지

For service and devotion
봉사하고 헌신해요

You would think that I
아마 당신은 생각하겠죠, 내가

Would deserve a fair promotion
정당하게 승진할 자격이 있다고

deserve는 ‘~를 받을 만 하다’, ~해서 마땅하다’란 뜻입니다. “You worked hard. You deserve a vacation.”하면 “당신은 열심히 일했어요. 그러니 휴가갈 만 합니다.’란 말이죠. promotion은 여기서 승진, 진급이란 뜻으로 쓰였는데요. “Mary finally got her well-deserved promotion.”하면 “메리는 마침내 당연히 받아서 마땅한 승진을 했습니다.”란 뜻이고요. 또 promotion에는 홍보란 뜻도 있습니다. “The company is offering a special promotion to increase sales.”하면 “그 회사는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 특별한 판촉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란 말입니다.

Want to move ahead
앞으로 나가고 싶지만

But the boss won't seem to let me
상사가 그렇게 해줄 것 같지 않아요

I swear sometimes that man is out to get me
가끔 그 사람은 날 못 잡아서 안달인 것 같다니까요

네, 후렴구 해석해 봤습니다. ‘9 to 5’ 이 노래는 미국에서 직장인들의 대표곡처럼 돼있는데요. 하지만 요즘에는 이 ‘9 to 5’, 이 일반적인 근무시간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미국 근로자들은 보통 아침 9시부터 5시까지 일하고, 이보다 더 일을 많이 하게 되면, overtime이라고 해서 초과 근무 수당을 받는데요. 하지만 전문직의 경우에는 일단 이런 초과 근무 수당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8시간 근무로 정해진 경우라고 해도 직원들의 편의를 위해서 근무 시간을 조정해주는 회사가 많은데요. flextime 제도라고 해서, 출퇴근 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융통성 있게 해주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하루 8시간씩 1주일에 5일 일하는 게 아니라, 하루 10시간, 1주일에 4일만 일하게 하기도 하고요. 또 번잡한 출퇴근 시간을 피할 수 있게, 두 시간 일찍 출근했다가 두 시간 일찍 퇴근하게 해준다든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2절 해석해보고 다시 얘기 나누도록 하죠.

(2절)
They let you dream, just a' watch 'em shatter
그들은 당신이 꿈꾸게 하죠, 그저 그 꿈이 깨지는 걸 보게 하려고

여기 just a’에서 ‘just to’를 발음나는 대로 쓴 거죠.

You're just a step on the boss man's ladder
당신은 그저 상사가 밟고 올라설 사다리의 한 계단일 뿐

But you got dreams he'll never take away
하지만 그 사람이 결코 앗아갈 수 없는 꿈이 있어요

In the same boat with a lot of your friends
같은 배에 여러 친구들이 함께 타고 있죠.

‘in the same boat’는 ‘같은 상황에 놓인, 처지가 같은’이란 뜻이죠. “우리 모두 같은 상황입니다. 같은 운명입니다.”란 뜻입니다. “Can you lend me some money? I’m broke.” “돈 좀 빌려줄래요? 돈이 다 떨어졌어요.”라고 누가 말을 하면, “I’m sorry. I’m in the same boat.” “미안합니다. 나도 같은 상황이에요.”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Waitin' for the day your ship'll come in
행운이 올 날을 기다리면서

여기서 ship은 fortune, luck, 그러니까 행운이란 뜻으로 쓰였습니다.

And the tide's gonna turn
이제 물의 흐름이 바뀔 거에요

And it's all gonna roll your way
당신 쪽으로 들어올 거에요

2절 가사 해석해 봤습니다. 좀 전에 flextime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telecommunting이란 제도도 있습니다. 직장에 나오지 않고, 집에서 재택 근무를 하는 건데요. 요즘에는 굳이 사무실에 나오지 않더라도 컴퓨터와 전화, 인터넷만 있으면, 업무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점점 더 재택 근무를 장려하는 추세입니다. 자, 그럼 여기서 두 번째 후렴구 해석해 보죠.

(후렴구)
Nine to five, yeah
9시부터 5시까지

They got you where they want you
그들이 원하는 곳에 당신을 잡아두죠

그러니까 회사가 계속 당신을 이용하고 싶어한다는 뜻이고요.

There's a better life
더 좋은 삶이 있는데

And you think about it, don't you?
사실 그런 생각을 하잖아요, 그렇지 않나요?

가끔 더 좋은 삶에 대해서 생각한다는 얘기겠죠.

It's a rich man's game
부자의 게임일 뿐이죠

No matter what they call it
그들이 뭐라고 부르건

‘no matter’는 뒤에 what, who, where 등의 구절이 와서 ~하든, 누구든, 어디든 ‘상관없다’ 란 말이죠. “No matter what they say, I still love you.”하면 “사람들이 뭐라고 하건, 난 여전히 당신을 사랑합니다.”란 말이죠.

And you spend your life
그리고 당신은 인생을 허비하고 있죠

Puttin' money in his wallet
그의 호주머니를 불리면서

여기서 그는 상사나 회사 사장을 말하겠죠.

돌리 파튼의 노래 ‘9 to 5’ 끝까지 해석해 봤습니다. ‘9 to 5’, 이 노래는 돌리 파튼의 노래 가운데 가장 성공한 노래가 됐는데요. 그 해 미국 빌보드 인기 순위 정상에 2주 동안 머물렀고, 권위 있는 아카데미 영화상 주제가상 후보로 오르기도 했습니다. 또 그래미 음악상 4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서 ‘최고의 컨트리 노래’와 ‘최고의 컨트리 여성 가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오늘 나온 표현 정리해 보겠습니다.

‘tumble out of ~’하면 ‘~에서 굴러 나오다, 굴러 떨어지다’ ‘come to life’는 ‘소생하다, 다시 살아나다’, 또는 ‘활기를 띠다’, ‘make a living’은 ‘생계를 꾸리다’, ‘get by’는 ‘그럭저럭 살아가다’, ‘drive someone crazy’하면 ‘누구를 미치게 하다’, ‘in the same boat’는 ‘같은 상황에 놓인, 처지가 같은’이란 말입니다.

팝스 잉글리시, 이제 또 헤어질 시간인데요. 돌리 파튼의 노래 ‘9 to 5’ 처음부터 다시 한번 들으면서 오늘 시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