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들 10명 가운데 5명은 북한이 국제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국 `BBC 방송’이 국제 조사기관인 ‘글로브 스캔’과 미국 매릴랜드 대학 ‘국제정책태도 프로그램’을 통해 10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북한이 국제사회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답한 응답자는 50%로 조사됐습니다.
54%를 기록한 이란과 51%로 집계된 파키스탄에 이어 3번째로 부정적인 평가입니다.
지난 해 12월 초부터 올해 2월 중순까지 전세계 22개국 2만4천9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에서 북한의 영향을 가장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입니다. 두 나라 국민 모두 10명 가운데 9명은 북한이 국제사회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답했습니다.
북미와 유럽연합 국가들의 북한에 대한 시각도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해 독일, 프랑스, 영국, 스페인, 호주 출신 응답자 10명 가운데 7~8명이 북한을 악영향을 끼치는 나라로 간주했습니다.
응답자들은 특히 북한의 대외정책과 주민들에 대한 처우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습니다.
반면 북한의 주변국 가운데 유독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지난 해에 비해 크게 완화됐습니다.
북한이 국제사회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반응은 중국에서 35%, 러시아에서 22%로 집계됐으며, 이는 예년 보다 각각 21%와 13% 낮아진 수치입니다.
북한의 영향력을 비교적 호의적으로 바라본 응답자들은 특히 아프리카 출신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나이지리아는 유일하게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북한이 국제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집트와 케냐에서도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다소 완화됐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영향력에 후한 점수를 준 응답자들이 제시한 근거는 다소 모호했습니다. 이들 중 북한의 전통과 문화가 국제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반응이 27%로 가장 많았고, 경제 26%, 대외정책 23% 순이었습니다.
한편 세계에 좋은 영향을 주는 나라 1위는 일본이 차지했으며, 지난 해 1위를 기록했던 독일은 2위로 한 단계 내려 앉았습니다.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세계인들의 긍정적인 평가도 지난 해 46%에서 올해 50%로 다소 늘었으며, 한국은 37%로 역시 우호적인 반응이 늘고 있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미국의 소리 백성원입니다.
‘북한, 세계에 나쁜 영향주는 나라’
북한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시각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북한이 세계에 나쁜 영향을 주는 나라라는 인식이 여전히 팽배한데요.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백성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