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통일부는 25일 금강산 관광과 관련한 문제들을 협의하기 위해 오는 29일 금강산에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을 열자고 북한 측에 제의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이 같은 내용의 통지문을 통일부 교류협력국 명의로 북한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앞으로 보냈습니다.
금강산 관광과 관련된 남북 당국 간 협의는 지난 해 2월 개성 실무회담 이후 1년 5개월 만입니다.
한국 통일부는 재산권 문제를 비롯해 금강산 관광과 관련된 여러 현안들을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남북 당국간에 관광 재개를 둘러싼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북한에 제기한 사안은 ‘관광사업과 관련한 당면 문제’라고 되어 있습니다. 재산권 보호 문제를 우선해서 당연히 우리 정부 입장을 협의를 하고, 북측에 정부 입장을 설명할 것이고요. 다만, 협의 과정에서 지난 해에도 민간협의단이 갔을 때 관광 재개 문제 얘기가 있었기 때문에 금강산 관광과 관련한 본질 문제도 협의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오는 29일까지 남측이 금강산 내 재산권 문제와 관련해 입장을 정하지 않으면 금강산지구의 남측 자산을 임대나 양도, 매각할 수 있다고 통보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또 국내 민간단체가 신청한 북한에 대한 밀가루 반출도 승인했습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우리 부는 오늘 오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천주교 측이 신청한 밀가루 반출과 이를 위한 방북을 승인하였습니다. 민화협은 사리원시 탁아소, 유치원, 소아병원 등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7월 26일 밀가루 300t을 북측에 전달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천주교 측은 황해북도 강남군 인민병원, 탁아소 등에 지원할 밀가루 100t을 7월 28일 북측에 반출할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가 민간단체의 밀가루 지원을 승인한 것은 지난 해 연평도 사태 이후 8개월 만입니다.
밀가루는 북한 군 식량 등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있어 한국 정부가 지원에 부담을 느껴온 품목이라는 점에서 이번 반출 승인을 계기로 민간 차원의 대북 지원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통일부는 지원 대상과 분배량이 명시된 세부 분배 계획서를 비롯해 현장 모니터링에 대해 북측과 합의가 이뤄져 반출을 승인했다며 분배 투명성만 보장된다면 민간 차원의 밀가루 반출을 계속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지역 안보포럼에서 남북 비핵화 회담이 열린 직후 나온 것이어서 꽉 막힌 남북관계의 물꼬를 틀 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