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내 탈북자 생활수준 남한 국민 70-80% 그쳐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 수가 2만 명을 넘어섰지만 생활수준은 여전히 남한 일반 국민들의 70-8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취업한 탈북자의 절반이 한달 소득 1백만원 미만의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은 14일 2000년 이후 입국한 탈북자 1천2백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이 경제 활동에 참가하는 비율과 고용률은 일반 남한 국민의 70-80%에 불과했습니다. 한국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42.5%, 고용률은 38.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 일반 국민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 61%, 고용률 59%의 약 70, 80%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취업 분야는 단순노무직이 가장 많았고 기계조립과 서비스업, 판매직 순이었습니다.

취업을 했더라도 절반 가량이 ‘한달 소득이 1백만원도 안 된다’고 답해 상당수 탈북자들이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저생계비인 50만원 미만이라고 답한 탈북자도 19%나 됐습니다. 반면 한달 소득이 3백만원 이상인 경우는 3%에 불과했습니다.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로는 건강 문제가 가장 많았고 육아, 학업, 가사 문제 등을 꼽았습니다.

탈북자들이 앓고 있는 질병으로는 관절염과 요통이 29%로 가장 많았고 소화기 계통, 혈관 질환, 골절 등 사고 후유증 순이었습니다.

또 탈북자 중 여성의 비율이 훨씬 높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활동 비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1.5배나 높아 남성이 여성보다 경제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생활고 속에 탈북자들의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에서 사는 것이 ‘힘들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은 21%에 그친 반면, 절반 가량이 ‘힘들다’고 답했습니다.

또 탈북자의 절반 가량은 자신을 ‘북한 출신 남한 사람’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고 여전히 ‘북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15%나 됐습니다.

탈북 동기에 대해선 10 명 중 7 명이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습니다. 이어 정치적 박해, 개인 사유, 교육 문제, 가족 결합, 종교자유 순이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