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일 의회, 북 미사일 발사 자제 촉구


다나카 나오키 일본 방위상 (자료사진).

일본 참의원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아태지역 여러 나라도 우려를 표하고 나섰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의 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떤 발사도 금지한 유엔 결의안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여론을 무시한 채 반복적으로 도발적 행태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결의안은 이어 일본 정부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철저히 대비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다나카 나오키 일본 방위상은 전날에 이어 23일에도 북한의 미사일이 일본 영공에 진입할 경우 요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필리핀 정부는 미국이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궤도 추적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볼테르 가즈민 필리핀 국방장관은 22일, 필리핀이 자체적으로 북한 미사일의 궤도를 추적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가즈민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이 지나는 방향의 주민들에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항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필리핀 정부의 이 같은 반응은 북한 로켓 2차 추진체가 필리핀 동쪽에 떨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따른 것입니다.

필리핀 외교부는 별도의 성명에서, 북한의 발사 계획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필리핀 정부는 이를 용인하기 어려운 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정부도 북한에 미사일 발사 계획을 재고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타이완 외교부의 퉁궈유 부부장은 21일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국방부는 북한의 미사일 계획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필요한 모든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의 머레이 매컬리 외무장관도 북한에 미사일 발사 계획을 취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매컬리 장관은 북한의 최근 발사 계획 발표에 매우 실망했다며,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는 2.29 미-북 합의와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매컬리 장관은 또 북한에 핵 계획을 중단하고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각 당사자가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행위를 하지 않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홍레이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 유지는 각 당사국의 공통적 책임이자 각 당사국의 공동 이익에도 부합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이연철 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