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인터뷰: 고려대기환경연구소 정용승 박사] "북한, 건조한 날씨 산불 증가"


북한에서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산불 발생 우려가 높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도 비가 적게 내린 서쪽 지방을 중심으로, 예년에 비해 많은 산불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한국 고려대기환경연구소 정용승 박사를 전화로 연결해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들어보겠습니다.

문) 정용승 박사님, 안녕하세요?

답) 안녕하세요.

문) 최근에 북한에 날씨가 계속 가물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는데요. 산불관련 발생 동향은 어떻습니까?

답) 작년에 산불이 많았고 금년 봄엔 별로 많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근 가뭄이 한 달 정도 계속 되면서 산불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문) 횟수는 어떤가요?

답) 한 번 산불이 나면 한 열군데, 이십 군데 또는 많게는 백 군데까지 나는데 저희가 어제까지 한 이십군데까지 황해에 발생해있는 것을 확인한 상태입니다.

문) 그게 현재 발생해 있는 산불이 그정도라는 말씀이신가요?

답) 네, 오늘은 조금 줄어들어 서너군데만 보이더군요.

문) 그렇게 산불이 발생한 상황은 인공위성으로 관측하시는 건가요?

답) 네, 인공위성으로 소위 적외선 관측을 하고 있습니다. 산불이 나면 뜨거우니 그 뜨거운 지역을 위성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문) 말씀하신 것처럼 어제 상황으로도 산불이 이십군데 정도 발생했다고 하셨는데요. 지역적으로는 어떻습니까?

답) 평안 부근에서부터 황해 전역에 분포되어 있더군요.

문) 주로 서쪽에 분포되어있다는 말씀이신가요?

답) 주로 서쪽에 치우쳐져 있습니다. 개마고원 쪽으로요.

문) 작년보다는 적다고 하셨는데 평년에 비하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건가요? 추세가 어떻게 되고 있는 건가요?

답) 6월 현재는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개 봄에 농사철이 시작되면서 산불이 많이 일어나는데 금년에는 많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확인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가뭄이 한 달째 계속되니까 산불 발생 추세가 늘나고 있습니다.

답) 산불이 많이 나는 것은 아무래도 가뭄과 관련이 있는 건가요?

답) 그렇죠. 가물다, 비가 안 온다, 혹은 농사철에 뭘 많이 태운다 이런 것들과도 관련이 있겠죠.

문) 아무튼 지금 관측하고 있는 산불은 사람이 일부러 태운 것이 아니고 대부분 화재로 발생한 것이죠?

답) 그 속에도 사람이 일부러 태운 것이 있을 수 있고 산불도 있을 수 있고 복합적입니다. 어쩄든 뜨거운 지점이 있으면 인공위성 적외선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문) 그렇다면 그 중에 일부는 사람이 일부러 낸 것 일수도 있군요.

답) 네,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일부는 그렇죠. 실화, 잘못해서 발생하는 산불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 북한은 그렇구요. 북한과 인접한 중국, 뭐 남한도 그렇구요. 다른 지역의 산불 상황은 어떻습니까?

답) 남한은 헬리콥터도 많고 산불이 났다고 하더라도 금방 끌 수 있어 산불이 별로 없습니다. 오늘도 산림청에 확인을 했는데 산불이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극동 지방 특히 만주지역에는 수백개의 산불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계속 확인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중에는 옥수수를 태울 수도 있고 복합적입니다만 그렇게 확인되고 있습니다.

문) 앞으로는 어떨까요? 기상청 날씨 정보를 보면 북한 지역도 이 달 말까지는 계속 가문 것으로 나오고 있던데요.

답) 맞습니다. 대개 장마는 시즌이 6월 말부터 시작해 쭉 한 달내내 장마전선이 남북을 침동해서 한달 내지 45일 이후에는 남만주 북쪽의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이 장마의 전형적인 형태인데 현재 오키나와 쪽에 장마 전선이 위치해 있는데 올라오는 속도가 굉장히 느리고 약합니다. 그래서 장마도 좀 시시하게 늦게 오지 않나, 그리고 장마 다운 장마는 아니지 않나하고 예측합니다. 물론 큰 비는 오겠습니다만, 예전처럼 구질구질하게 한달을 매번 오는 그런 장마는 이제 없어졌고 장마가 조금 단속적으로 짧고 빨리 없어지고, 소나기가 더 자주 오는 등 아열대 기후의 특성을 닮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7월 초순내지 중순에는 건조한 것이 모두 없어지기 때문에 산불 이런 것들이 모두 진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문) 아무튼 그럼 그때까지는 산불은 모두 조심해야겠군요. 그렇다면 예방책으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답) 때때로는 하늘에서 주는 건조함이 산불을 내기도 하는 거고, 예방에는 정해진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러 내는 산불이 많습니다. 산불의 80-90% 이상이 사람이 내는 것인데, 이런 원인이 사라지도록 이러한 선불이 나지 않도록 자주 방송을 하고 우리도 자주 교우하고 그런 방법이 없지 밖에 없나 생각합니다.문}그런 방법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산불이 났을 떄는 빨리 가서 끌 수 있고 그런 준비가 되어야 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 네, 박사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