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승주 전 장관 "김정은 명목 지도자"


8일 워싱턴의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열린 포럼에서 연설하는 한승주 전 한국 외무장관
8일 워싱턴의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열린 포럼에서 연설하는 한승주 전 한국 외무장관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아직은 실권을 갖지 못한 명목상의 지도자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한국의 한승주 전 외무장관이 워싱턴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이런 주장을 제기했는데요, 이에 대한 자세한 소식입니다.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당,정,군의 직책은 물려받았지만 아직까지는 실권이 없는 명목상의 지도자라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1990년대 한국 김영삼 정부에서 외무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북한 핵 위기를 다뤘던 한 전 장관은 8일 워싱턴의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열린 포럼에서 이같은 분석을 내놨습니다.

[녹취:한승주 전 외무장관]

“KIM JONG-EUN AT THE MOMENT…

김정은이 지금 당,정,군의 직책을 갖고 있지만 김정일 위원장이나 김일성 주석이 가졌던 권력은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겁니다.

이와 관련해 한승주 전 장관은 북한이 최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핵실험을 준비하는 등 도발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김정은의 권력 장악이 확고하지 않다는 반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평양 내부의 정치 상황과 관련해 한승주 전 장관은 세 가지 관측을 제기했습니다.

우선 북한이 지난 몇 달간 ‘서울을 잿더미로 만들겠다’는 등 상당히 도발적일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대남 도발을 통해 내부 결속을 다지거나, 김정은 제1위원장의 지도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 설명은, 현재 김정은 제1위원장은 물론 그 어떤 세력도 권력을 확실히 장악하지 못했을 가능성입니다. 따라서 북한 권력층 인사들이 보다 합리적인 정책을 내놓기 보다는 과거의 강경책을 답습하고 있다는 겁니다.

세 번째는 분야별로 역할분담이 이뤄졌을 가능성이라고 한 전 장관은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와 행정 문제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고모부인 장성택이 맡고 군사와 외교는 몇몇 군부 원로들이 담당한다는 겁니다.

[녹취:한승주 전 외무장관]

“LED BY JANG SUNG-TACK…

이처럼 국방과 경제 등 주요 분야는 원로들이 다 맡아 하기 때문에 김정은 제1위원장이 할 일은 어린이 놀이터를 찾아 관리원을 질책하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한 전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지난 달 평양의 만경대 유희장을 현지 시찰한 자리에서 ‘잡초 제거를 제대로 안했다’며 관리원들을 질책한 바 있습니다.

한편 한 전 장관은 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북한에 대한 중국의 인식이 바뀌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되는 것이 중국의 국익을 해치는 것임을 베이징이 깨달아야 한다는 겁니다.

한 전 장관은 그러면서 중국 수뇌부가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위기이자 기회’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한승주 전 외무장관]

“CHINA PROBABLY SAW…

김정일 위원장 사망으로 핵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진 것은 위기지만, 중국으로서는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는 겁니다.

한승주 전 장관은 이어 시간이 좀더 흐르면 중국의 지도부가 북한을 동맹국이 아닌 ‘외교적 부담’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물론 한반도가 남한 주도로 통일되더라도 중국에 나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승주 씨는 1993년부터 2년간 외무장관을 지냈으며, 2003년부터 2년간 워싱턴주재 한국대사를 지냈습니다.

미국의 소리 최원기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