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대표자회가 오는 4월 중순 열린다고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김정은 동지의 주위에 굳게 뭉쳐 주체 위업과 선군혁명 위업을 끝까지 완성하기 위해 당 대표자회를 4월 중순 소집할 것을 결정한다”는 결정서를 발표했습니다.
`노동신문’도 1면 머리기사로 ‘조선노동당 대표자회를 소집할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당 정치국 결정서 전문을 게재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회의의 구체적인 일정과 의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번 당 대표자회는 지난 1958년과 1966년, 그리고 2010년에 이어 네 번째 열리는 겁니다. 지난 2010년 9월 열린 3차 당 대표자회에선 김정은을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해 후계자임을 공식화하고 당 중앙위원과 중앙위 후보위원 등을 교체하는 등 당 인사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처음 열리는 당 대표자회라는 점에서 이번엔 김 부위원장을 북한 권력의 정점인 당 비서국 총비서직 또는 당 중앙군사위 위원장에 추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입니다.
[녹취: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이제는 구체적으로 김정은 체제가 명실상부하게 출범하는 분깃점이 될 것이다, 그렇게 봐야 할 것 같고 그 과정에서 김정은에게 당 총비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이 부여되면서 결국 김정은 시대의 서막을 명확히 알리는 축제의 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또 4월에 김일성 주석의 100회 생일과 인민군 창건 80주년, 그리고 최고인민회의 등 주요 정치행사들이 예정돼 있어 당 대표자회에서 김 부위원장을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한 뒤 최고인민회의에서 추인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있습니다.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당 주요 보직에 대한 인사를 단행해 김정은 체제를 떠받드는 새로운 권력 구도를 구체적으로 드러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 국방연구원 김진무 박사입니다.
[녹취: 김진무 한국 국방연구원 박사] “2010년 제3차 당 대표자회에서 중앙당을 재건하고 인사를 단행했는데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서 새롭게 김정은 식의 체제를 구축하려는 게 아닌가 그렇게 생각합니다.”
평양 이외의 지역에서 김 부위원장에 대한 지지나 충성 이 아직 확고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당 대표자회를 전국 차원의 당 기간 조직의 충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 김 부위원장의 영도력을 과시하는 장으로 활용하려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또 이번 당 대표자회를 통해 김정은 시대를 알리는 새로운 정책노선을 제시하면서 강성국가를 선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미국의 소리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