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전문가, “북, 김정은 군사 지도자 이미지 위해 신군부 부상”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열린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변화와 지역적 안보' 세미나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열린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변화와 지역적 안보' 세미나

북한 내 신 군부의 부상은 정권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이미지를 군사적 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22일 열린 북한의 정치 변화 관련 토론회를 취재했습니다.

한국 통일연구원의 최진욱 북한연구센터 소장은 22일 미국 워싱턴의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열린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변화와 지역적 안보(Political Changes in 2012: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n Regional Security)' 라는 제목의 세미나에서 북한에서는 김정은의 후계자 부상과 함께 큰 권력 이동이 발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권력 기반이 박봉주 전 내각총리를 중심으로 구 군부의 지지를 받던 기존의 구 세력에서 보수적인 노동당 엘리트들과 신 군부로 구성된 새로운 집단으로 이동했다는 것입니다.

최 소장은 이 가운데 신 군부의 출현이 가장 극적인 변화였다며, 이는 김정은의 이미지를 군사적 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민군 총참모장 이영호와 총정치국 1부국장 김정각, 정찰총국장 김영철 등이 북한 신 군부의 핵심 인물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밖에도 최 소장은 북한 정권 내부에서 김정은을 군사 지도자로 부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 등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이 대장 칭호를 수여 받고, 북한의 공신 선전기관이 김정은을 포병술 천재로 선전하고 있는 점, 또 김정은을 김 장군으로 호칭하고 있는 것 등이 이 같은 사실을 입증한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지난 9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북한 정권수립 기념일 열병식도 김정은의 군사 지도자 이미지를 부각시키려는 노력과 일부 관련이 있다고 최 소장은 분석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시에도 북한의 체제붕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러시아의 대북 전문가가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과학원 산하 극동문제연구소 내 한반도연구센터의 알렉산더 제빈 소장은 북한의 정치체제가 지도자의 유고나 권력 공백에서도 체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돼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김일성 주석 유고 후 3년간 북한에는 공식 지도자가 없었고, 최근 김정일의 와병 중에도 권력의 공백이 있었지만 북한 정치체제는 상당히 지속 가능한 체제인 것으로 입증됐다는 것입니다.

제빈 소장은 또 김정은이 북한의 후계자로 공식화됐지만, 최고 권력자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제빈 소장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의 후계자로 지정된 후 실제 권력을 이양 받는 데 20년이 걸렸다며, 김 위원장이 쉽게 최고 권력자의 자리를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