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이 28일 워싱턴에서 미국의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만나 북한과의 대화 재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임성남 본부장은 회담이 끝난 뒤 기자들에게, 한반도 안보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미국 측과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올바른 조건 하에서 대화 과정이 재개돼야 할 필요가 있다는 데 대해서 인식이 일치했습니다.”
임 본부장은 특히 미국은 현 단계에서 북한과 3차 고위급 회담을 가질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본적으로 북한이 시그널을 보내오기만 하면 미국은 다시 대화에 응할 충분한 준비가 돼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과 북한은 앞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직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대북 영양 지원과 3차 고위급 대화에 의견이 접근했으며, 북한은 이에 따라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잠정중단 하기로 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미-북 간 고위급 회담 재개에 대해 묻는 질문에 “북한 측으로부터 시그널을 기다리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우라늄 농축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 IAEA 핵 사찰관 입국 허용 등을 미-북 간 대화에 앞서 북한이 취해야 할 사전조치로 제시하면서, 북한이 이를 받아들일 경우 대화에 나설 것임을 밝혀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