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나라들이 핵무기를 갖기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리비아는 아주 드문 결정을 내린 나라입니다. 리비아는 핵무기를 보유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그 노력을 포기했습니다.
리비아가 어떻게 핵무기를 추구했으며, 또 어떻게 핵무기개발계획을 포기하게 됐는지에 관해 VOA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국제테러조직들을 지원해온 나라의 독재자 손에 핵무기가 들어간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두려운 일입니다. 이 같은 악몽은 리비아에 의해 거의 현실화될 뻔 했습니다. 그러나 리비아는 2004년에 돌연 생화학무기와 함께 핵계획을 포기했습니다.
이제 리비아의 핵계획 포기는 무기해체의 상징처럼 되고 있습니다. 아담 에얼리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미국의 소리]와의 인터뷰에서 리비아가 핵야망을 포기한 좋은 선례를 남겼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됐습니까? 유럽연합과의 관계도 잘 풀려나가고 있으며 실비오 베르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가 이 나라를 방문하고,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도 예정대로 이 나라를 방문했습니다. 미국과의 대화도 열렸으며 미국은 이 나라에 이익 대표부를 설치했습니다. 상황은 더욱 좋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인들은 어째서 이란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 IAEA 보고서에 따르면, 리비아는 지난 1980년대초부터 핵개발계획을 은밀하게 추진해 왔습니다.
리비아가 일종의 국제적인 불량배가 되면서 상황은 매우 위태롭게 됐습니다. 리비아 지도자인 모아마르 가다피는 테러조직들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가다피 대령을 가리켜 미친 사람이라고 불렀습니다. 여러 명의 미국 군인들을 희생시킨 베를린 디스코테크 폭파를 배후 지원한데 대한 보복으로 1986년에 미국 전폭기는 리비아를 폭격했습니다.
리비아는 파키스탄의 고위 핵과학자인 칸 박사가 운영하는 암시장에서 핵물질과 전문지식을 획득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받았습니다. IAEA는 리비아가 칸의 조직망을 통해 원심분리기 부품과 농축우라늄을 획득했다고 말하고 있는데, 칸의 암거래 조직망은 20여년만인 지난 2004년에 적발되어 와해됐습니다. 이 같은 핵암거래망의 붕괴에는 가다피 대령이 핵무기를 포기한 후 리비아가 제공한 정보들이 상당부분 기여했습니다.
그러면 리비아가 어째서 핵무기를 추구했는지가 의문으로 남게 됩니다. 미국의 전 핵무기 사찰단장이었던 데이비드 케이 씨는 [미국의 소리] 기자에게 리비아가 이웃나라들의 위협도 받지 않았고, 또 대단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도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설사 리비아가 핵무기를 보유한다 해도 이것을 어떻게 사용하려 했는지 알기 어려웠습니다. 리비아는 핵무기를 발사할만한 강력한 운반수단을 갖고 있지 못했습니다. 또 솔직히 말하면 핵무기가 아주 민감한 사안으로 간주될 만큼 이웃 나라들과의 긴장된 관계도 없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면 어째서 가다피 대령이 대량파괴무기를 포기했는가에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에얼리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핵개발계획이 리비아에게는 재정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너무나 큰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었다고 말합니다.
“리비아가 결국 핵무기계획을 포기한 것은 첫째로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설사 돈이 있더라도 그 돈은 국민을 위해 쓰는 것이 더 좋았을 것입니다. 둘째로 핵무기는 친구를 가져다 주는 게 아니라 적을 만드는 결과가 됐습니다. 셋째로 핵무기를 가졌다고 해서 국방이나 안보가 강화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리비아는 오히려 이런 핵무기를 갖지 않는 것이 더 좋겠다고 판단하게 된 것입니다.”
부쉬 행정부의 관리들은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과감한 행동도 리비아로 하여금 핵무기를 포기하게 만든 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하버드 대학교 [핵무기관리계획]의 매튜 분 선임연구원은 이유야 어떻든 리비아가 갑자기 생각을 바꾼 것은 핵확산금지 노력의 중요한 개가라고 말합니다.
“리비아의 성공은 다른 나라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리비아는 실제로 핵무기 개발계획을 갖고 있었고,핵무기 제조 수준의 농축 우라늄을 만들기 위한 원심분리기와 원심분리 계획을 칸 박사의 암시장으로부터 획득했지만, 갑자기 생화학 무기와 미사일 계획등과 함께 핵 계획을 포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리비아의 핵개발 노력에 대한 칸 박사의 역할, 그리고 그의 몰락에 리비아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으며, 영원히 그 내막이 밝혀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파키스탄의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은 칸 박사를 사면조치했지만, 외국 정부들이 그의 핵 암시장 활동에 관해 심문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