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정부, “탈북자 B형 간염 10명 중 1명 감염”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10명 가운데 1명이 B형 간염 보균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통일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나타났는데요. 전문가들은 B형 간염처럼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의 경우 하나원 퇴소 이후에도 탈북자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료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관련 소식을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10명 중 1명이 B형 간염 보균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통일부가 26일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최근까지 탈북자 교육시설인 하나원에 입소한 탈북자 9천4백 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10.7%인 1천10명이 B형 간염 보균자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남한 사람들 가운데 보균자 비율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전문가들은 말했습니다.

또 하나원에 입소한 1만2천여 명의 탈북자를 상대로 방사선 검사를 한 결과 1.7%인 2백여 명이 결핵 소견을 보였습니다.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들은 통일부 하나원 산하 병원인 '하나의원'에서 의무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습니다.

하나원 관계자는 "B형 간염 보균자의 경우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는 '비활동성 환자'가 상당수이고 전염의 위험이 있는 '활동성 환자'의 경우엔 하나원에서 치료해 사회에 내보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결핵환자로 판단된 경우 외부 전문병원과 연계해 치료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EJK Act 1 0926 "간염의 경우 활동성은 전염이 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약을 먹고 비활동성으로 전환을 시켜야 합니다. 하나의원 내에선 이같은 경미한 진료를 다 처리하고 있고 중환자나 전염성 환자의 경우 하나원 인근에 있는 전문병원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이 곳에서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탈북자들의 정착을 돕는 북한이탈주민후원회의 김동수 과장은 "대부분의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영양실조나 의약품 부족으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다가 중국 등 제 3국에서 체류하는 동안 병이 더 악화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B형 간염 등 감염 환자들의 경우 약 복용이나 예방 접종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원 퇴소 이후 사후관리가 미흡하다고 지적합니다.

탈북자 교육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설사 전염의 위험이 없는 비활동성 간염 환자라 해도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회에 나와 생활고에 시달리다 보면 활동성으로 악화될 수 있다"며 이들을 위한 건강관리 체계가 빨리 보강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위해 이 관계자는 "한국 정부와 민간단체가 역할을 분담해 탈북자들의 입국시점부터 정착단계까지 단계별로 이들의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는 "B형 간염 탈북자의 경우 본인이 그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지역 사회 내 의료기관과 협력해 탈북자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EJK Act 2 0926 "하나원에서 퇴소한 후 남한사회에서 생활할 때 본인이 B형간염 보유자인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 예방접종 대상지임에도 불구하고 예방접종을 제대로 받지 못해 경우가 많습니다. 탈북자 본인의 건강상태를 인지하도록 하고 지역사회의 의료기관과 연계해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 하나원 관계자는 "현재 지역사회에 탈북자 전담 창구를 설치할 것을 유관 부처와 협의 중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EJK Act 3 0926 "하나원과 국립의료원 중간 정도의 의료단계로 도에서 운영하는 국공립 병원과 연계하는 방안을 협의 중에 있습니다. 하나의원 내에서도 진료를 보다 강화하고 사회에 나가서도 체계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