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퓰리처상 수상 언론인 핼버스탬 교통사고로 사망 (Eng)


미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보도상인 퓰리처 상을 수상한 언론인이자 저술가, 데이비드 핼버스탬 (David Halberstam)씨가 23일 교통사고로 사망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기자 시절에 베트남 전쟁에 관한 비판적인 보도로 미국의 역대 두 행정부의 미움을 사기도 했지만 추적보도 분야에서는 새로운 기준을 정립했습니다. 데이빗 핼버스탬씨의 생애를 조명해 봅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씨의 일생은 여러 면에서 미국적인 성공의 전형이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동유럽 유대인 이민자 가정출신으로 미 북동,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에 있는 미국 최고의 명문 대학교인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했습니다. 하지만, 핼버스탬씨는 생전에 하버드에서 공부를 썩 잘하지는 않았다고 말했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자신은 대학시절 때 보다는 대학 졸업 후 더욱 많은 것을 이룩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관심분야가 언론계로 좁혀지면서 자신이 보도에 재능이 있다고 믿게 되었다고 핼버스탬씨는 말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하버드 대학교의 교내 신문인 ‘하버드 크림슨’의 기자로 활동했고 그 시절을 회상하면서 하버드대 재학생으로서 보다는 학생기자로서 더욱 실력을 발휘했다고 말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정치인이거나 공직 선거에 출마 하지 않아도 기자가 되면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인물로서 권위를 인정 받을 수 있다는 점에 특히 매력을 느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기자가 된다는 것은 외모가 출중하거나 부유하지 않아도 되고, 다만 양심에 따라 행동할 수 있음을 뜻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누구든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안들 가운데 하나가 정의라고 믿는다면 훌륭한 기자로서 정의 실현에 기여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씨는 1934년 4월 10일 뉴욕시에서 외과의사인 아버지와 학교교사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습니다. 그는 하버드대 졸업 후 미국 남부 미시시피 주 웨스트포인트의 ‘데일리 타임스 리더’ 지방 신문사에 입사하면서 언론계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얼마 안있어 좀 더 큰 신문인 테네시주 ‘내쉬빌 테네시언’으로 옮겨, 기자 생활을 계속했습니다. 그 곳에서 핼버스탬씨는 미국 남부에서 불붙고 있던 흑인 민권운동에 관해 목격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탁월한 심층기사들을 게재했습니다. 미국내 흑인들과 다른 미국인들이 인종차별의 법적. 윤리적 장벽을 철폐하기 위해 고전하는 실상을 생생히 전하는 핼버스탬씨의 보도는 미국 유력지 ‘뉴욕타임즈’의 주목을 받게됐습니다. 그후 핼버스탬씨는 1960년대 초 미국 독자들에게 지구 반대편에 있는 아시아의 작은 나라 베트남에서 종군기자로 전쟁의 실상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핼버스탬씨의 현지 보도들은 베트남에서 벌어지고 있는 실상에 관한 미국 행정부의 공식입장에 대해 자주 의혹을 제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캐네디와 존슨, 두 미국 대통령 모두 핼버스탬씨의 이같은 취재내용을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이 두 대통령이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정도에 관해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진실의 요소는 어디에나 널려있지만, 국가 정부들은 베트남전쟁의 경우처럼 진실이 정책에 반한다는 이유로 흔히 진실을 은폐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베트남 전쟁은 미국의 당시 젊은 세대를 분노케 했고 이는 정부는 거짓말을 계속하고 일반인들은 진실을 말했던, 민주주의 체제의 엄청난 내부 투쟁이었다고 회상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이후 베트남에 관한 책을 여러권 집필했습니다. 그는 1965년에는 ‘수렁의 생성과정 (The Making of a Quagmire) ’이라는 책을 출간한데 이어 72년에는 미국의 동남아시아 지역 개입을 주도한 미국 관리들을 다룬 ‘가장 똑똑한 사람들 (The Best and Brightest) ’이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1964년에 민권운동에 관한 보도의 탁월함을 인정 받아 미국의 최고 문학상인 퓰리처 상을 수상했습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씨는 재능도 다양했던 만큼 관심분야도 다양했음을 보여줬습니다. 그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 리그와 1950년의 시대상, 그리고 미국과 일본 자동차 업계 등에 관해서도 책을 집필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미국의 철학가, 랄프 왈도 에머슨의 명언을 인용하면서 한 개인이 자기 양심에 충실하면 온 세상이 완전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핼버스탬씨는 자신은 인생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며 뉴스보도는 기자 자신이나 그들의 명성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사회발전은 바로 일반 시민들의 지혜와, 용기, 그리고 명예로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자신은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기자이자 저술가였던 데이비드 핼버스탬씨는 23일 캘리포니아주에서 73세를 일기로 사망했습니다.

*****

Pulitzer Prize-winning journalist and author David Halberstam died Monday. Halberstam's coverage of the Vietnam War earned the enmity of two American presidential administrations. But it set a new standard in investigative journalism, as we hear in this report .

In many ways, David Halberstam was the typical, American success story. This son of Eastern European Jewish immigrants attended one of the very best schools in America - Harvard University in Cambridge, Massachusetts. But, by his own admission, he did not do very well there.

"I was someone who did better in life after college than in college. But, to me, it began to narrow down to journalism," he explained. " It was something I thought I was good at. I was on the college paper. I was better at being on the 'Harvard Crimson' than I was being a student at Harvard."

What appealed to Halberstam was that he could be in the public limelight - as a "player" - without being a politician or running for public office.

"You did not have to be good looking. You did not have to be rich. But you could act on conscience," he noted. "And, if you believ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America was the idea of justice, I think good reporters could contribute to that."

David Halberstam was born on April 10, 1934, in New York City - the son of a surgeon and a teacher.

Halberstam's first journalism job after Harvard was with the "Daily Times Leader" in Westpoint, Mississippi. From that vantage point - and shortly thereafter as a reporter for the larger daily, the "Nashville Tennessean" - David Halberstam published engaging and thorough eyewitness accounts of the growing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American South.

His reports on the struggle by African-Americans and others in the United States to abolish legal and moral racial barriers caught the attention of the prestigious "New York Times." And, in the early 1960's, Halberstam suddenly found himself in Vietnam, reporting on the Southeast Asian conflict for an American audience, half world away.

David Halberstam's dispatches frequently questioned the official versions of what was going on in Vietnam. His efforts were least appreciated by the administrations of both presidents Kennedy and Johnson, whom he felt were deceiving the American public about the extent of American involvement in the war.

"I think, in every venue, there is an element of truth," he said. "And, governments often try and cover it up because it goes against policy, as in Vietnam. I think Vietnam did make a generation of us angry. It was a titanic struggle in democracy in which the government was lying and ordinary people were telling the truth."

A number of books about the Vietnam war followed, including "The Making of a Quagmire" in 1965 and "The Best and Brightest," published in 1972, about the U.S. officials who were responsible for engineering America's involvement in Southeast Asia.

In 1964, Halberstam was awarded the Pulitzer Prize - America's highest literary honor - for his reporting of the civil rights struggle.

David Halberstam proved himself to be as diverse as he was talented: he also wrote engaging accounts about major league sports - "The Summer of '49," "The Breaks of the Game", the decade of the 1950's - "The Fifties" and the American and Japanese auto industries - "The Reckoning".

"There is a phrase from (American philosopher Ralph Waldo) Emerson which I did not know at the time," he explained. "Let me paraphrase it: 'If one good man plants himself upon his conscience, the whole world will come 'round.' And, my life has validated that. This is what makes reporting - it isn't us. It isn't our fame. It is the courage of ordinary citizens - the wisdom, the courage and honor of ordinary citizens - that I do believe in."

Journalist and author David Halberstam, dead at the age of 73.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