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font color = 9c4500>[오늘의 화제]</font> 자유의 소중함을 노래하는 성가대,  부카니 무웨이투 (영문 + 오디오 첨부)


“부카니 무웨이투” 남아프리카 공화국 말로 ‘사람들이여 일어나라 – 일어나서 변화를 이룩하고 서로를 도와가자’ 라는 뜻의 성가대 이름입니다. 이 성가대는 우리들이 흔히 생각할수 있는 전형적인 성가대가 아닙니다.

현재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북부지역에서 25명의 흑인, 백인, 동양인, 그리고 남미인으로 이루어진 이 성가대는 극심한 인종 분리 정책이 실시되던 1986년 남아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자유를 주제로 한 노래를 불렀습니다.

당시 이들은 흑인 인권 운동을 이끌다 투옥당했던 넬슨 만델라의 석방과 인종 분리 정책의 폐지를 노래에 담았습니다. 그로부터 5년 후인 1991년, 거의 30년만에 넬슨 만델라는 석방되었고 인종분리 정책은 철폐 되었습니다.

부카니 무웨이투 성가대원들은 이런 사태발전을 환영하면서, 더이상 노래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부카니 무웨이투 성가대원들은 남아 공화국에서 자유를 호소했던 노래를 미국에서 계속 불러야 하는 여러가지 이유를 발견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에 위치한 교회의 신도인 변호사 파니아 데이비스는 300여명의 교인들에게 남아 공화국의 1953년 당시의 현실을 재현합니다. 데이비스는 청중에게 당시 유명했던 남아공의 인권 운동가 제임스 마드로페이 필립스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제임스 필립스는 넬슨 만델라와 함께 사람들을 선동하는 노래를 부르게 했다는 혐의로 1953년 당국에 체포되었습니다. 제임스 필립스는 결국 조국을 탈출해 유럽 전역을 순회하며, 조국의 자유를 위해 노래하는 성가대원들을 양성하였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독일에 머물던 변호사 파이나 데이비스는 한 교회 앞에서 가슴을 두근 거리게 하는 성가대의 노래를 접하고, 그 소리를 좇아 교회 안으로 들어 갑니다 . 교회 안에서는 독일인 교인들이 남아 공화국의 줄루, 호사, 츠와나 부족들의 자유를 위해 감동적이고도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그 독일 성가대의 지도자는 바로 남아공 인권 운동가 제임스 필립스였습니다. 파이나 데이비스는 필립스를 미국 오클랜드로 초청해, 자유를 주제로 한 공연을 제작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 공연을 계기로 구성된 성가대가 20년 후인 지금, 부카니 무웨이트라는 이름으로 자유의 노래를 세상에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안드레아 조이스 터너는 부카니 무웨이트 성가대의 음악 담당 지도자 입니다. 터 너씨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유의 노래를 들을 때면, 조화와 복음 그리고 민권을 생각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런 노래들은 사람들에게 무어라 말로 설명하기 힘든 벅찬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또 터너씨는 말합니다.

터너씨는 또한, 젠제니아와 같은 노래의 가사는 50년전 인종 분리 정책 당시 그랬던 것 만큼이나 지금의 현실과도 멀지않다고 말합니다.

젠제니아의 가사는 기본적으로 “내 피부는 검은 색이다. 내가 억압을 당할 만한 무슨 일을 하였는가. 도대체 나의 죄는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이 노래를 들으면서 인종 분리 정책에 맞서 싸우다 숨진 젊은 영혼들을 생각해 보라고 터너씨는 요구합니다.

또 지금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뿐 아니라 미국 전역에서 죽임을 당하고 또 서로를 죽이고 있는 젊은이들을 생각해 보라면서 터너씨는 “나의 죄가 무엇인가, 내가 무엇을 했는가, 왜 우리가 서로를 죽이고 있는가”란 외침에 귀를 기울여 보라고 말합니다. 세대를 거듭하며 많은 사람들이 인종 차별에 희생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호사, 레투, 그리고 줄루 부족의 마음을 담은 노래입니다.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 전통을 이어가려고 노력한다는 터너씨는 과거 20년 동안, 아직까지도 이 성가대의 노래가 필요함을 깨달았다고 말합니다. 성가대의 이름인 부카니 무웨이투는 “사람들이여 일어나라 – 일어서서 변화를 이룩하고 서로를 도와가자”를 의미합니다.

부카니 무웨이투 성가대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위한 집회, 무숙자들을 위한 임시 거처와 교도소, 그리고 전 세계를 무대로 공연을 계속할 것입니다. 이들은 현재 남아 공화국에서의 공연도 계획 중입니다.

(영문)

Vukani Mawethu is not your typical choir. These 25 part-time vocalists, a chorus of African Americans, whites, Asians and Latinos based in Northern California, have been singing South African freedom songs since 1986, when the intense segregation of apartheid still ruled South Africa. They sang out for the freedom of Nelson Mandela and the end of apartheid. Five years later, in 1991, Mandela was freed, apartheid fell, and Vukani Mawethu happily thought the need for their songs was over. But they found many reasons to keep singing South African freedom songs here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pulpit in this Oakland, California church, lawyer Fania Davis takes an audience of 300 back to South Africa, 1953, with the story of anti-apartheid activist James Madhlope Phillips. “In 1953,” she tells them, “James was again arrested, together with Nelson Mandela, having been accused of inciting the people to sing.” Phillips escaped South Africa and traveled throughout Europe, training choirs to sing his country's freedom songs.

Fania Davis was in Germany 20 years ago when she heard the pulsating rhythms of a chorus, and stepped into a church to find its source. “German voices were singing songs of freedom in Zulu, Xhosa, Tswana, with such power and such beauty. It was pleasantly disorienting.”

The director of that German choir was James Madhlope Phillips himself. Davis invited him to come to Oakland to lead a single performance of freedom songs. Twenty years later, the choir that formed for that one performance, sings on, as Vukani Mawethu.

Andrea Joyce Turner, the choir's musical director, finds many parallels between the music of South Africa and America. “When I think of South African music, I think of the harmonies, and I think of the gospel music here, and the civil rights songs. And the similarities are uncanny, the feeling that they evoke.” And, she says, the lyrics of the songs are as relevant today as they were a half-century ago under apartheid.

She points to Senzenina as an example. “[The lyrics] basically say, 'My skin is black, what have I done to deserve to be oppressed? What is my crime?' And you just think of all of the young people who have died because of the fighting of apartheid. And you think about it now, all of the kids being killed or killing each other, in Oakland, all over the U.S. and the picture became, what is my crime, what have I done, why are we killing? We're killing off generations!”

The choir sings in Xhosa, Xhetu and Zulu. Turner says they try to continue the legacy that has been passed on to them. “We have found out in the last 20 years that we continue to be relevant. Vukani Mawethu means People Arise - get up, get out, make some kind of change, help one another. That's exactly what we've been doing for the last 20 years.”

Vukani Mawethu continues to perform at AIDS rallies, homeless shelters, prisons and concert halls worldwide. They're planning a trip to sing in South Africa.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