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탈북자들의 한국정착의 어려움을 그린 영화 ‘무응답’ (영문기사 첨부)


한국에 정착하기 위해 북한을 탈출하는데 성공한 사람들에게 한국에서 새로운 삶을 이룬다는 것은 하나의 투쟁이 될 수가 있습니다. 떠들석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삶의 충격은 종종 소외감과 때로는 한국인들이 표출하는 적대감으로 뒤섞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소리] 특파원이 일부 젊은 탈북자들이 그들의 독특한 어려움을 표현하기 위해 비데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영옥이라는 이름의 한 어린 탈북자 소녀가 서울에서 고향에 전화를 걸지만, 저쪽에서는 아무런 응답이 없습니다.

이것은 [무응답]이라는 짧은 기록영화의 첫부분입니다. 이 영화에서 영옥이는 북한의 남자 친구를 위해 남기고 있는 가상의 전화 메시지 형태로 한국에서의 그의 새로운 삶의 모습을 담담하게 이야기합니다.

영옥이는 북한에서는 우등생의 한 명이었지만, 지금 한국 학교에서는 어려운 싸움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 영화는 서울에서 그들의 필요에 맞도록 짜여진 특수학교에 다니는 진짜 탈북자들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영화에서 그들의 한국 선생님으로, 이 영화를 감독한 김건 씨는 젊은 탈북자들이 교실에서 여러움을 겪는 것은 흔한 일이라고 말합니다.

김건 감독은 어린 탈북자들은 종종 5년 내지 6년 정도 교육의 기회를 놓쳤다고 말합니다. 김 감독은 예를 들어 17살 짜리 학생은 열살 정도의 학력 수준일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현재 한국에는 7천여명의 탈북자들이 살고 있으며, 이중 천여명은 19세 이하의 청소년들입니다. 공산 치하의 북한에서 당한 심각한 결핍 때문에 이 청소년들은 종종 한국 급우들에 비해 키가 현저하게 작고, 신체적인 발육도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북한 청소년들은 급우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하거나 왕따를 당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많은 어린 탈북자들은 한국으로 탈출하는 호된 시련으로 이미 마음에 상처를 안은 채 한국에 도착합니다. 대개 탈북 여정은 중국 국경을 불법 월경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중국에 도착해서도 체포되어 북한에 강제 송환될 수 있다는 끊임없는 위협에 직면하게 됩니다. 젊은 탈북자들이 만든 두번째 기록영화인 [한국으로의 긴 여로]는 이런 경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한 어린 탈북자 소녀는 그가 숨어 지내던 일과 그의 삼촌과 아버지가 도망치려다가 중국 공원원에게 체포되던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인권단체로 보통 프랑스어 첫머리 글자 M.S.F로 알려진 [국경 없는 의사들]은 탈북자들의 절반 이상이 한국으로의 탈출의 후유증으로 [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갖고 있다고 말합니다.

M.S.F에서 어린 탈북자들의 심리 상담가로 일하고 있는 한국인 이하영 씨(여)는 어린 탈북자들은 공통적으로 악몽, 불안, 집중 장애 증상을 갖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하영 씨는 탈북자들은 가끔 도박이라든가 컴퓨터 게임 같은 중독성 행동을 통해 일상의 현실로부터 도피하며, 또 일부는 앞으로 범죄행동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경고인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고 말합니다.

탈북자들을 위한 학교에서 영화의 선생역을 맡고 있는 김건 씨는 아이들이 선생님들에게 특별한 도전을 해오기도 한다고 밝힙니다.

김건 씨는 선생님들은 어린 탈북자들의 신뢰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선생님들은 이들이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더 많이 배우도록 도우려는 유혹을 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서울에서 한 가족은 그 자체가 거의 하나의 학교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 자선단체들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다리 공동체]의 점심시간입니다. 이곳에는 20여명의 탈북 자들이 수용돼 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10대 청소년이며, 또 이들은 고아이거나 부모와 헤어진 이산가족들입니다. 이들은 합창을 하고 서로 숙제를 도와주면서 서로 한가족처럼 지내고 있습니다.

[다리]란 한국어로 개울을 건너는 교량을 의미합니다. 이 가족의 가장인 이영석 씨는 아이들에게 [아저씨]라는 호칭으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 아이들이 집에서는 특별 관찰을 받고 있지만, 이영석 씨는 융합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이 아이들을 한국의 정규학교에 보내고 있습니다.

이영석 씨는 어린 탈북자들이 처한 절망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깨닫게 될 때, 이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어떤 일을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영석 씨는 이 아이들은 서울에서의 생활에 행복감을 느끼지만, 아직도 그들이 북한에서 왔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을 꺼린다고 말합니다.

어린 탈북자들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의 공공정책 전문가들은 탈북자들이 한국 사회에 통합되는데 실패함으로써 새로운 삶에 적응하고 일자리를 구하고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되는데 많은 문제를 갖게 될 가능성이 늘어나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For North Koreans who succeed in leaving their country to move to South Korea, building a new life can be a struggle. The shock of life in a robustly capitalist society is often compounded by alienation, and sometimes hostility expressed by South Koreans. VOA Seoul Correspondent Kurt Achin looks at how some of the youngest defectors have been using video to express their unique set of difficulties.

A young North Korean girl named Young Ok places a call from Seoul to her homeland - but there is no one on the other end of the line.

This is the premise of a short documentary film called "No Answer." In it, Young Ok narrates footage of her new life in South Korea, in the form of an imaginary telephone message she is leaving for a North Korean boyfriend.

Young Ok says she is struggling in school in the South, even though she was one of the best students in North Korea.

The film was made by real North Korean defectors attending a special school tailored to their needs in Seoul.

Their South Korean teacher, Kim Geon, who supervised the film project, says it is not uncommon for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to have a hard time in the classroom.

He says young North Koreans have often missed five or six years of education. He says a 17-year-old, for example, may have the academic capacity of a 10-year-old.

There are more than seven-thousand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the South, and more than a thousand of them are under the age of 19. Because of severe deprivation in the communist North, they are often noticeably shorter and less physically developed than their South Korean classmates. As a result, many young North Koreans say they experience teasing or exclusion.

Many young defectors arrive already traumatized by the ordeal of making their way to the South. The journey is most commonly started by entering China illegally, where refugees face the constant threat of being caught and sent home. A second documentary made by young North Koreans, called "Long Journey South," offers a glimpse of this experience.

In this clip, a young North Korean girl describes how she hid and watched Chinese authorities arrest her uncle and father as they were attempting to defect.

The French-based humanitarian group Doctors Without Borders, commonly known by its French initials M.S.F., has said that as many as half of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s a result of their flight to the South.

Lee Ha-young is a South Korean working with Doctors Without Borders as a psychological counselor for young North Koreans. She says it is common for them to have bad dreams, anxiety, and difficulty concentrating.

She says North Korean defectors often find refuge from everyday reality through addictive behavior, such as gambling or compulsive computer gaming. She says some become violent - a possible warning they may turn to criminal behavior in the future.

Kim Geon, the film teacher at the school for North Korean defectors, says the children pose a special challenge for educators.

He says teachers have to work to win the young North Koreans' trust. But he says teachers must avoid the temptation to help the children too much, so that they can learn to survive independently.

One household here in Seoul functions almost as a school in itself.

This is dinnertime at the Dari Community, a private household that receives financial assistance from various charities. More than 20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live here, most of them teenagers, and all either orphans or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hey treat each other as members of a family, pitching in with chores and helping each other with homework.

The name "Dari" means "bridge." The head of the household, Lee Young-seok, is affectionately known to the children as "Uncle." Although the children receive special attention at home, Lee sends them to regular South Korean schools so they can learn to integrate.

Lee says he had to do something to help North Korean children when he became aware of how much despair they faced. He says the children feel lucky to be in South Korea, but are still reluctant to reveal to other people that they are from the North.

The number of young North Koreans here is increasing, and South Korean public policy experts warn that the defectors' failure to integrate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y will have problems for years in adapting to their new lives, getting jobs and becoming part of the society in the South.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