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북핵 폐기와 관련한 6자 회담 당사국들에 지난 4차 6자 회담에서 채택한 공동 성명을 준수하라고 촉구했습니다.
6자 회담 의장국인 중국의 이러한 잠재적 경고는 북한이 20일, 모든 자체 핵 계획을 폐기하기 전에 경수로를 먼저 공급받아야 한다는 발표에 뒤이어 나왔습니다.
외교 분석가들은 6자 회담 당사국들이 먼저 경수로를 제공한 뒤에 핵계획을 포기하겠다는 북한의 새로운 주장은 6자 회담 의장국으로서 19일 합의한 공동 성명 보장을 위해 열심히 뛰어온 중국을 당혹케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친 강 대변인은 20일, 북한이 4차 6자 회담에서 북한과 당사국들이 합의한 공동 성명을 이해하고 있다는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것으로 자신은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친 강 대변인은 북한을 포함한 6자 회담 당사국들은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진지한 자세로 그들의 결의를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앞서 19일, 다른 6자 회담 당사국들과 함께 북한의 핵 계획을 모두 폐기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공동 성명에 합의했습니다.
6자 회담 참가국들은 전력 사용을 위해 민간용 핵 계획을 보유해야 한다는 북한의 요구를 인정하고 이 사안을 적절한 시기에 논의한다는데 합의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 적절한 시기는 북한이 자체 핵 무기 계획을 모두 폐기한 뒤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관측자들은 북한의 가장 가까운 우방국인 중국의 그러한 압력은 북한으로하여금 자체 핵 폐기 계획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납득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미국 하와이에 있는 민간 연구 단체 퍼시픽 포럼 (Pacific Forum) 의 회장이자 한반도 안보 관련 전문가인 랄프 코사씨는 그러한 중국의 입장에 대해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코사 회장은 4차 6자 회담에서 당사국들이 합의한 공동성명의 잉크가 체 마르기도 전에 나온 북한의 발표는 북한의 추가 이득에 매우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그 이유는 중국이 북한의 그러한 태도에 짜증을 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가난에 찌든 공산 북한에 식량과 연료를 공급하는 주요 국가 입니다.
중국은 과거 북한에 경제적인 보상을 제공하면서 북한의 6자 회담 복귀등 북한 당국의 양보를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분석가들은 중국이 이 시점에서 북한의 결의에 대해 채찍을 들기를 바라는가를 봤을때 여전히 이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