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광복 70주년 기념 '북한 프로젝트' 서울 시립미술관서 열려


21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전 '북한 프로젝트'를 찾은 관람객들이 중국 왕궈펑의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21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전 '북한 프로젝트'를 찾은 관람객들이 중국 왕궈펑의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북한을 예술을 통해 가깝게 느낄 수 있는 전시회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그림과 사진, 우표 등이 전시되고 있는데요, 서울에서 박은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광복 70주년 기념 '북한 프로젝트' 서울 시립미술관서 열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6:16 0:00


[녹취: 현장음]

서울시립미술관. 21일부터 9월29일까지 특별한 전시가 열리고 있는데요, 광복 70주년을 맞아 북한을 예술적 화두로 조명하는 ‘북한 프로젝트’입니다.

[녹취: 현장음]

이번 전시에는 한국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북한 화가들이 직접 그린 유화와 포스터 150 점부터, 외국 사진작가들이 최근 북한을 직접 방문해 찍은 도시건축물, 풍경, 인물 사진 등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 대해 서울시립미술관의 여경환 학예사에게 들어봤습니다.

[녹취: 여경환,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이번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저희가 선보이는 전시는 북한 프로젝트예요. 그래서 북한 프로젝트라고 하면 사실 낯설 수 있고 생소할 수 있는데요, 북한이라는 저희에게는 어떻게 보면 같은 민족이자 적인, 자아이자 타자인 이런 북한이라는 것에 대해서 예술가들이 예술적인 화두로서 북한을 예술적 화두로 삼고 질문을 던지는 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인 어떤 장벽들이 많은 주제인데, 이 주제를 본격화해서 어떤 담론의 장으로 끌어내서 전시장에 오는 관람객들과 함께 이 주제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생각들을 나눌 수 있는 그런 전시가 되었으면 합니다.”

북한 화가들의 작품은 유화 70 점과 포스터 80 점으로 구성됐는데요 유화는 ‘네덜란드 로날드 드 그로엔 컬렉션’, 포스터는 ‘네덜란드 빔 반 데어 비즐 컬렉션’, 우표는 ‘한국 신동현 컬렉션’으로 통일부 등의 도움을 받아 작품을 유치했습니다. 또 영국의 닉 댄지거, 네덜란드의 에도 하트먼, 중국의 왕 궈펑 등 외국의 사진작가들이 이방인의 눈으로 본 2010년 이후의 북한 인물과 풍경 사진 46 점도 공개됐는데요, 계속해서 여경환 학예사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녹취: 여경환,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이번 전시는 세 가지 섹션으로 이루어져있고요, 첫 번째 섹션은 한국 예술가들이 북한에 대해서 상상하는 예술적 상상을 보여주는 섹션이 있고요, 두 번째는 외국의 사진가들이 외국의 눈으로, 서구의 눈으로 뭐, 중국의 눈으로, 외부의 눈으로 북한에 가서 북한의 풍경과 인물들을 담은 사진 섹션이 있고요, 세 번째 섹션으로 그렇다면 북한 프로젝트면 북한에서는 도대체 예술가들이, 미술가들이 어떤 그림들을 만들어 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유화섹션이 있고, 포스터 섹션, 북한 우표 섹션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 가지 북한 섹션, 예술가 섹션으로 이 전시는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북한 우표 100여 점이 국내 최초로 공개됐고, 38선 분단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개조해 만든 '통일의 피아노'도 눈길을 끕니다.

[녹취: 여경환,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부대행사로는 저희가 대표적으로 통일부랑 제일기획이랑 같이 진행하는 통일의 피아노 프로젝트가 있고요, 이것은 전시장 밖에 부대전시로 보여지고 있고요, 그리고 작가와의 대화나 아니면 전문가 강연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또 북한과 분단의 현실을 예술적 화두로 삼아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의 영상 설치 작품 18 점도 전시됐습니다. 중진작가 강익중, 박찬경, 노순택, 이용백을 비롯해 탈북 작가 선무, 신진작가 권하윤, 전소정이 참여해 설치와 영상을 통해 분단의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전시 첫 날 많은 관객들이 찾았는데요. 멀게만 느껴졌던 북한을 예술작품을 통해 가까이 볼 수 있었다는 관람객들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녹취: 관람객] “직접 보니까 저는 되게 의외로 가까이 가서 보니까 아, 이렇게 그림을 그렸고 붓터치나 이런 걸 이렇게 그렸구나, 하고 좀 생각이 저는 바뀌는 것 같아요. 다른 사람들이 그린 그림인데도 한 사람이 그린 그림 같더라고요, 그래서 그게 되게 놀라웠고 북한 현실을 찍은 사진들을 보는 데 그것도 되게 낯선 풍경이라 좀 이질적인 느낌이 있었던 것 같아요.”

“경험하지 못하잖아요, 저희 시대에는… 근데 예술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같은 하늘을 보면서, 하지만 경험할 수 없는 북한의 모습을 보게 되어서 좀 남달랐던 것 같아요, 다른 전시보다.”

“북한 작품이잖아요, 체제나 환경 같은 모습도 알 수 있고, 북한이 우리나라한테 뒤떨어진 나라라고 알고 있지만, 기법이나 이런 걸 봐서는 전혀 그런 걸 느낄 수 없고, 미술 정도는 인정할 만한… 소녀가 이렇게 팔을 벌리고 있고 뒤에 그림자가 있는데, 그림자 모습이 소녀 이미지랑은 다르게 안 좋은 모습? 네, 대비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인상깊었어요.”

그림을 통해 분단의 현실을 다시 한번 느꼈다는 관람객들도 있는데요.

[녹취: 관람객] “보니까 여자 군인 모습이 보였거든요, 근데 같은 하늘 아래 같은 동포로서 뭔가 더 분단된 현실이 잘 느껴지면서 가슴도 아팠던 것 같아요.”

“북한이랑 이런 교류도 하는구나, 뭐 이런 생각도 당연히 들고, 아무래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봤을 때 나중에 통일이 됐을 때 갑작스럽게 접하는 것 보다 이렇게 미술로 간접적으로 먼저 접해서 괴리감을 줄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좋은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그거는.”

한편 전시 기간 중에는 학술발표회, 예술가와의 이야기 시간 등 부대행사도 진행됩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은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