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북한인권 단체들이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대대적인 캠페인에 나섰습니다. 이들 단체는 한국에서 정기국회가 열리는 9월 한 달을 ‘북한인권의 달’로 정하고, 영화제와 학술회의 등 다양한 행사를 열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30여 개 북한인권 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북한 인권의 달’ 선포식.
한국의 정기국회와 유엔총회가 열리는 매년 9월을 ‘북한인권의 달’로 정해, 북한인권 문제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 적극 알리겠다는 겁니다.
행사를 주관한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유세희 이사장입니다.
[녹취: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유세희 이사장] “북한 주민들의 인권이 얼마나 가혹하게 유린되고 있는지 오랫동안 국내외에서 논의돼 왔지만 아직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직적인 노력은 매우 미흡합니다. 특히 누구보다 북한 주민의 고통을 줄이는 데 앞장서야 할 한국 국민들의 관심과 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
한국 국회에서 열린 이날 선포식에는 김천식 통일부 차관을 비롯해 김문수 경기도 지사 등 정치권 인사들과 탈북자 등 3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김천식 통일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인권은 인류보편적인 가치로, 어떠한 국가나 체제도 개인의 인권을 침해해선 안 된다”며 “한국 정부는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시민단체와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천식 통일부 차관] “한국 정부는 이산가족,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와 북한 이탈주민 문제도 분단에서 발원한 인권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위성과 현실적 필요성에 입각해 정부는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날 선포식에선 북한인권법을 조속히 제정하고, 한국 차기 정부가 북한인권 문제를 국정과제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선언문도 채택됐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선포식이 끝난 뒤 북한인권법의 국회 통과를 위해 국회의장이 여야간에 협의기구를 만들어 중재에 나설 것을 요청하는 서한도 전달했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이달 말까지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서 북한인권을 주제로 하는 영화제와 문화 공연, 사진 전시회, 학술회의 등을 잇달아 열어 한국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또 중국에 구금됐다 풀려난 북한인권 운동가 김영환 씨의 강연과 ‘통영의 딸’로 알려진 신숙자 씨 가족의 송환을 촉구하는 항의 집회와 국회 청문회도 예정돼 있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이번 캠페인으로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성화돼, 북한인권 운동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
한국의 30여 개 북한인권 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북한 인권의 달’ 선포식.
한국의 정기국회와 유엔총회가 열리는 매년 9월을 ‘북한인권의 달’로 정해, 북한인권 문제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 적극 알리겠다는 겁니다.
행사를 주관한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유세희 이사장입니다.
[녹취: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유세희 이사장] “북한 주민들의 인권이 얼마나 가혹하게 유린되고 있는지 오랫동안 국내외에서 논의돼 왔지만 아직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직적인 노력은 매우 미흡합니다. 특히 누구보다 북한 주민의 고통을 줄이는 데 앞장서야 할 한국 국민들의 관심과 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
한국 국회에서 열린 이날 선포식에는 김천식 통일부 차관을 비롯해 김문수 경기도 지사 등 정치권 인사들과 탈북자 등 3백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김천식 통일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인권은 인류보편적인 가치로, 어떠한 국가나 체제도 개인의 인권을 침해해선 안 된다”며 “한국 정부는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시민단체와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천식 통일부 차관] “한국 정부는 이산가족,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와 북한 이탈주민 문제도 분단에서 발원한 인권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위성과 현실적 필요성에 입각해 정부는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날 선포식에선 북한인권법을 조속히 제정하고, 한국 차기 정부가 북한인권 문제를 국정과제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선언문도 채택됐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선포식이 끝난 뒤 북한인권법의 국회 통과를 위해 국회의장이 여야간에 협의기구를 만들어 중재에 나설 것을 요청하는 서한도 전달했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이달 말까지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서 북한인권을 주제로 하는 영화제와 문화 공연, 사진 전시회, 학술회의 등을 잇달아 열어 한국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또 중국에 구금됐다 풀려난 북한인권 운동가 김영환 씨의 강연과 ‘통영의 딸’로 알려진 신숙자 씨 가족의 송환을 촉구하는 항의 집회와 국회 청문회도 예정돼 있습니다.
북한인권 단체들은 이번 캠페인으로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성화돼, 북한인권 운동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