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핵실험으로 대북지원 축소 우려’


유엔 산하 기구들은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북한이 핵실험까지 실시해 앞으로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더욱 줄어들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식량계획, WFP는 대북 주재 요원의 일부 철수와 현지 사업의 추가 축소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지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세계식량계획, WFP는 27일 춘궁기를 맞은 북한의 식량난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핵실험이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을 크게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WFP 아시아 사무소의 폴 리즐리 대변인은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난이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에서 앞으로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리즐리 대변인은 미국 정부 등 국제사회의 지원 축소로 최근 북한 사업 지원 규모를 줄인 가운데 유엔 안보리의 성명에 따르면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액수가 가까운 시일 내에 늘어나기는 힘들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WFP는 지원 식량 부족으로 북한 내 지원 대상 6백20만 명 가운데 1백80만 명에게만 지원을 펼치고 있으며, 식량 지원량도 기존의 15%로 줄였습니다. 또 현재 평양, 청진, 함흥, 해주, 혜산, 원산에 설치된 현장 사무소들 중 두 군데만 활용 중이며, 북한 전역의 13개 식량가공 공장도 두 군데만 가동하고 있습니다.

리즐리 대변인은 이들 사무소와 공장의 추가 가동 중단 가능성에 대해 지원 식량이 부족한 현재의 상황이 계속되면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리즐리 대변인은 특히 지난 2006년 10월9일 북한의 첫 핵실험 이후에도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크게 줄었었다며, 현재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으로는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받기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WFP의 대북 긴급 지원 사업은 지난 해 9월1일부터 올해 11월30일까지를 기한으로 진행되며, 목표 모금액은 5억3백64만6천여 달러입니다. 27일 현재 전체 모금액은 목표 액수의 13.8%에 불과한 6천9백52만7천9백72달러입니다.

현재까지 대북 지원금을 기부한 나라는 캐나다, 스위스, 호주, 쿠바, 덴마크 등 11개국으로, 지난 2007년 긴급모금 사업 때 러시아와 한국, 독일 등 14개국과 개인 기부자들이 대북 지원을 했던 데 비해 기부국 수와 액수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WFP는 국제사회의 대북 모금이 지지부진함에 따라 지난 3월 이월금액 3천2백99만3천여 달러를 긴급히 투입하고, 유엔의 중앙긴급구호기금, CERF 6백49만 3천7백 달러도 추가한 바 있습니다.

리즐리 대변인은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과 국제사회의 지원 간의 간극이 크게 우려가 되는 상황이라며, 북한의 정치적 상황이 개선돼 조만간 각국이 북한주민들의 어려운 상황에 관심을 쏟아 대북 지원에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거듭 호소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지원조정국, OCHA 역시 올 들어 대북 지원 액수가 크게 줄었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OCHA는 그러나 북한의 이번 핵실험과 관련한 논평은 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OCHA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대북 인도주의적 기금은 1천6백90만 달러로, 이 가운데 중앙긴급구호기금 1천만 달러를 제외하면 실제적인 각국의 지원금은 6백90만 달러에 불과합니다. 지난 해 OCHA의 전체 대북 지원 모금액은 4천7백50만 달러였습니다.

OCHA는 대북 지원 기금이 부족하자 지난 달 북한에 1천만 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추가지원 한 바 있습니다. 북한은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지원 받은 14개국 가운데 아프리카 짐바브웨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기금을 받았습니다.

존 나이아가 OCHA 공보관은 북한의 인도주의적 필요성으로 볼 때 1천6백90만 달러의 기금은 물론 충분치 않다며, 올해 대북 지원에 참여한 나라는 캐나다와 호주, 핀란드 등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유엔아동기금, UNICEF 역시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대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