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내 대북 민간단체들, 올해 첫 보건의료 지원 재개


지난 해 12월 이후 한달 가량 중단됐던 한국의 대북 민간단체들의 보건의료 지원이 내일부터 재개됩니다. 북한 측은 남북관계가 소강상태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 측 의료지원 단체들의 방북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VOA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 첫 대북 지원 활동이 내일부터 시작됩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내일 남북공동제약회사인 정성의학종합센터를 방문합니다. 지난 달 의약품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실험 테이블과 시약장비를 북측에 보낸 데 이어, 내일부터 기술자를 평양에 보내 품질 관리실 건설공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북측의 민족화해협의회와 협력사업을 벌이고 있는 이 단체는, 지금까지 모두 18억7천만원 가량을 북측 의료환경 개선을 위해 지원해왔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관계잡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 관계자: “북측에 정성의학종합센터라는 제약공장이 있구요. 수액약품 공장, 지금은 품질관리실에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수액약품 공장은 2003년부터 시작했고 2005년 6월에 준공식을 가졌습니다. 연 500만병 규모의 수액제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습니다. 북한은 여기에서 수액제를 만들어서 각 병원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병원 현대화 사업과 관련해선, 적십자 병원을 중심으로 병원 내 병동의 수술증 현대화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대북 의료지원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는, 나눔 인터내셔날도 보건 의료 관계자 십여명을 평양에 보냅니다.

조선적십자종합병원과 평양 의료협력센터, 인민병원 등을 살펴보기 위해섭니다.

오는 29일엔 진단시약과 의료장비 등을 북측에 전달할 예정입니다.

국내 최대 구호단체 중 하나인 굿네이버스도 이달 31일 평양을 방문합니다.

북측과 사업계획을 논의한 뒤, 대동강제약 공장과 남포시 와우도 병원 등을 둘러볼 계획입니다.

이 단체는 현재, 평양의 정성제약연구소와 대동강 제약공장, 제2인민병원에 원료 의약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06년 11월에는, 북측과 함께 대동강 제약공장을 짓고 직접 캡슐 항생제를 생산한 바 있습니다.

어린이 어깨동무도 평양 의학병원의 소아병동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지하 1층, 지상 5층에 200개의 병상이 들어설 소아병동은 이 단체가 지난 2006년부터 30억원을 들여 짓고 있는 건물로, 올 8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단체는 병동이 준공되는 대로 진단 장비 등 의료시설을 지원하고, 북한의 소아과 의사들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995년 북한의 대홍수 이후 본격화된 민간 단체의 대북지원은, 크게 농업과 보건의료분야, 그리고 식량과 긴급구호 활동으로 나뉩니다.

이 가운데 보건 의료 부문은 최근 2,3년 사이에 급속히 증가했습니다.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이 통일부로부터 제출 받은 감사자료에 따르면, 대북 지원단체들의 보건의료분야 지원액은 매년 꾸준히 늘어나, 지난 해에는 약 130억 원에 달했습니다.

현재 대북 보건의료 지원단체는 한국 국제보건의료재단을 비롯해 모두 열 여섯 곳입니다.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북한의 1인당 보건의료비 지출은 2003년 기준으로 채 1달러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는 남한의 705달러와 비교하면 상당히 열악한 수준입니다.
대북 의료지원을 다녀온 남한 의료진에 따르면, 현재 북한의 의료시설은 남한의 1970년대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본약품인 링거액의 경우, 각 병원에서 직접 끓여 소독한 물과 소금으로 수액을 만들어 환자에게 주사하는 실정입니다.

이처럼 의료시설이 뒤떨어진 이유는, 기존의 보건의료시스템이,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낙후됐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력난이 의료시설 낙후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손명세 세계보건기구 집행이사는 “북한의 경우 기본적인 난방과 전기 시설이 여의치 않아 전통의학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합니다.

손명세 세계보건기구 집행이사: “전력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병원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약이라던가 의료 소모품 같은 것들이 부족하고 모든 시스템들이 제대로 기능을 못하게 된 것이 가장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북한 당국은 체제 위협이 되지 않는 한, 남한으로부터 의료지원과 인프라 건설을 반기는 분위깁니다.

전문가들은 대북 의료지원에 대해서도 북한 일반 주민들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대상 기관을 선정하고, 단발성 행사가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손명세 이사는 “단순한 물질적 지원뿐 아니라 기술 이전을 통한 자립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의 노광을 사무총장은 “의료장비 지원만으로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다”며 남북간 의료 개발 협력지원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노광을 한국국제보건의료 재단 사무총장: “남측은 현대의학이 상당히 어느 수준에 올라와있고, 북측은 여러 이유로 낙후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의료기자재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북측 의사들이) 접해보지 못해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의료기자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임상적으로 환자를 직접 보면서 기술을 전수하자 이렇게 합의가 이뤄졌던 것입니다.”

한편, 이들 대북지원 단체들은 정권교체에 따른 대북 지원사업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민간 주도의 인도주의 사업은 계속적으로 지원할 의사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