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차 협상 후 드디어 석방되는 푸에블로호 승무원들. 23차 협상 결렬 후 위기에 빠져있던 푸에블로호 승무원 송환 협상은 국무부에 근무하는 한 직원의 발상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고, 드디어 26차 협상에서 송환 협상은 완전 타결된다.
26차 협상 후 드디어 석방되는 푸에블로호 승무원들. 23차 협상 결렬 후 위기에 빠져있던 푸에블로호 승무원 송환 협상은 국무부에 근무하는 한 직원의 아이디어로 새로운 전기를 맞고, 드디어 26차 협상에서 송환 협상은 완전 타결된다.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 열번째 이야기. 북한의 벼랑끝 전술로 타결 전망이 불투명했던 승무원 송환 협상이 극적으로 합의된다.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 아홉번째 이야기. 미국의 사과 문제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미-북 양국과 벼랑끝 전술을 들이미는 북한의 대응.그리고 막바지를 향해가는 푸에블로호 송환 협상의 이모저모를 소개한다.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소 정성윤 교수의 말처럼 북한 측 대표단들은 푸에블로호 석방 협상이 국가 대 국가 간의 협상임을 명확히 하며 회담장에 들어섰습니다.
‘다큐멘터리 – 사건 다시 보기’의 김정우입니다. 미국과 북한이 나포된 푸에블로호를 석방시키기 위해서, 6. 25 전쟁이 끝난 후 처음으로 양자회담을 벌인 1968년 2월 2일, 윌리엄 포터 주한미국 대사는 이 회담이 끝난 후 국무부에 다음과
미국과 소련이 전문과 친서를 주고 받으며 나포된 푸에블로호를 석방시키기 위해서 바쁘게 움직이고 있던, 1968년 1월 27일, 미국 백악관에 북한으로부터 뜻밖의 전갈이 도착합니다.
북한이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의 해군 함정, 푸에블로호를 나포하자, 당시 공산주의 종주국으로 북한의 후견인 역할을 자처하던 소련은 당황하게 됩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현 상황을 아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불과 사흘 전에 북한이 내 목숨을 노리고, 무장공비를 보내더니, 이젠 미국 군함을 나포해 갔어요. 난, 이런 북한의 행위를 묵과할 수가 없습니다!"
푸에블로호 나포사건, 세번째 이야기
푸에블로호가 동해상에서 나포됐다는 소식은 워싱턴 현지 시각으로 1월 23일, 자정 무렵에 전해집니다. 하지만, 당시 푸에블로호가 왜 나포됐는지, 그리고 미군은 끌려가던 푸에블로호를 왜 구조하지 않았는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