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대 중국 교역, 1차 산품 위주 구조에서 못 벗어나’


지난 해 북한의 대 중국 수출은 전혀 가공되지 않은 원료 형태의 생산품인 1차 산품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조업 기반이 붕괴된 북한경제의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 산하 무역투자진흥기관인 코트라가 1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북한의 중국에 대한 최대 수출품목은 석탄 등 광물성 연료와 광물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품목의 수출 규모는 3억9천7백만 달러로 북한 전체 수출액의 33.4%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철광석과 귀금속광, 연광 등 제품이 2억5천1백만 달러로 21.1%, 철강이 1억9백만 달러로 9.2%로 집계됐습니다.

이밖에 어류와 갑각류, 연체동물 등 동물성 제품이 6천만 달러로 5%, 아연과 그 제품이 4천8백만 달러로 4%, 소금과 황, 석회 등이 3천1백만 달러로 2.6%를 기록했습니다.

북한의 수출에서 이 같은 1차 산품의 규모는 8억9천6백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 11억8천 8백만 달러의 75%에 달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제조업 기반이 붕괴된 북한경제의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산하 국제무역연구원 심남섭 연구위원의 말입니다.

“북한이 현실적으로 공장을 가동할 상황이 안 되다 보니까 구할 수 있는 물품이라는 게 자연상태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지 않습니까? 그게 1차 산품이구요….”

지난 해 북한의 대 중국 수입에서도 제1 품목은 원유와 휘발유 등 광물성 연료와 광물유로, 4억7천9백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체 수입액의 21%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보일러와 기계류 (10.8%), 전기기기와 음향영상 설비 (8.4%), 차량과 관련 부품 (7%), 플라스틱과 관련 제품 (3.7%) 이 5대 수입 품목에 포함됐습니다.

한편 보고서는 북한 투자가 수익률이 높고 저임금 등 비용부담이 적어 중국 기업들이 북한 투자에 관심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의 북한 진출에는 여전히 걸림돌이 많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 규정상 북한 기업이 합작관계를 맺을 수 있는 외국 기업의 수가 1개로 제한돼 있어 합작대상 북한 기업이 이미 다른 외국 합작사를 갖고 있을 경우 북한 진출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중국 기업들이 합작을 도모할 수 있는 북한 기업의 수 자체가 워낙 적은 것도 북한 진출에 애로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