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중, 라선시 공업단지 설립 협의’


공단 대상지의 일부인 나진항 (자료사진)
공단 대상지의 일부인 나진항 (자료사진)

북한이 라선특별시에 개성공단 형태의 공단을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중국과 협의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일한 달러 유입 창구인 개성공단을 모델로 부족한 외화를 벌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과 중국이 라선시에 개성공단을 모델로 한 대규모 공단을 설립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복수의 대북 소식통이 22일 밝혔습니다.

중국에 있는 한 대북 사업가는 22일 ‘미국의 소리’ 방송에 “중국이 투자하고 북한이 토지와 인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라선시에 공단을 조성하는 방안을 현재 논의 중”이라며 “이를 위해 지난 주 지린성 상무부와 민간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라선을 방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가는 “중국 측 방문단이 교통, 산업, 농업 팀 등으로 나눠 민관이 합동으로 라선시를 시찰했다”며 “북한은 나선시 인민위원회 측에서 나온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북한과 중국이 지난 해 12월 합의한 라선특구 5개년 합작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는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되는 조건으로 북한과 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지난 해 1월 라선시를 특별시로 승격하면서 기업 활동과 기반시설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관련법을 개정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 당국과 대북 소식통들은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이 잇따른 대북 제재로 달러가 부족한 북한이 외화 유입을 통해 경제난을 타개하고, 산업경제를 회생시키기 위한 의도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는 21일 비공개로 열린 재외공관장 회의에서 북한에서 유일하게 경제적으로 성공한 것이 바로 개성공단이라며, 한국이 개성공단 폐쇄를 압박하자 북측에서 개성공단을 닫을까 봐 노심초사했다고 밝혔습니다.

핵 개발에 따른 대북 제재와 한국 정부의 5.24 조치로 북한이 달러를 확보할 수 있는 창구는 현재 개성공단이 유일합니다.

북한이 연간 개성공단에서 벌어들이는 현금은 약 5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이는 북한이 한해 수출을 통해 버는 순이익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액수입니다.

한국 기은경제연구소 조봉현 박사는 “북한으로선 개성공단 같은 달러 창구를 더 확대하고 싶어할 것”이라며 그러나 양측의 입장 조율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 정부 당국자는 “개성공단의 경우 수 조원을 투자해 몇 년에 걸쳐 완공됐다는 점에서 북-중 양국이 공단 조성에 합의했다 하더라도 실제 완공까지 이어지려면 상당한 투자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