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주간 경제뉴스] 美 재정적자와 무역적자, 세계 경제 성장 위협 - 2005-01-29


세계 경제, 올해도 비교적 높은 성장 유지할 것

유엔은 지난 해 세계 경제가 4퍼센트 성장을 이룩했다고 말하고, 올해도 3.25퍼센트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은 미국과 중국이 함께 세계의 성장을 지탱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지난 해 국제 유가가 인상됐지만, 지난 1980년대의 오일 쇼크와 같은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고 유엔은 말했습니다. 유엔은 중국의 수요와 세계 경제의 성장이 석유 이외의 다른 품목들의 가격 하락을 막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것이 일부 가난한 나라들에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유엔 경제학자 이안 키니버그 씨는 말했습니다.

키니버그 씨는 비 석유 품목의 높은 가격이 가난한 나라들의 성장에 기여했다고 말하고, 그 이유는 부유한 소비 국가들의 소득이 그 나라들로 이전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로 인해 지난 해 개발도상국가들이 20년만의 최고인 5.1퍼센트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고, 유엔은 지적하면서, 아프리카가 지난 해 4.1퍼센트의 성장을 이룬 것도 농업 생산 증가와 정치적 안정, 원조 증가와 함께 비석유 물품 가격의 상승 덕분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

美 재정적자와 무역적자, 세계 경제 성장 위협

미국의 무역 적자가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는 달리 달러화 약세를 통해서 교정될 수 없다고, 유엔이 경고했습니다. 유엔은 지난 25일 발표한 2005년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의 강력한 성장은 미국 달러화와 국제적 불균형 문제가 어떻게 풀리느냐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달러화의 가치 절하만으로는 국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충분하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보고서 작성 책임자인 이안 키니버그 씨는 미국 단독으로 그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말하고, 세계 경제의 침체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들도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키니버그 씨는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이 미국에만 촛점이 맞춰질 경우 현재 세계의 성장 엔진인 미국의 성장이 둔화돼 결국 국제적인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미국에 대해 막대한 무역 흑자를 기록하는 다른 많은 나라들도 국제적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과 서유럽 국가들, 아시아 개발 도상국가들은 국내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키니버그 씨는 말했습니다.

************************

中 새로운 인플레이션 우려 제기

중국 경제가 지난 해 4/4 분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9.5퍼센트의 높은 성장을 이룩하면서 새로운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록적인 수출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소매 활동, 그리고 곡물 수확의 대폭 증가 등으로 중국은 지난 한 해동안 8년만의 최고인 9.5퍼센트 성장을 이뤘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해 경제 성장율을 8퍼센트 대로 낮추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부동산이나, 철강생산, 자동차 제조 등 과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중국 국가 통계국의 리데쉬 국장은 중국 정부는 그같은 조치들을 완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그같은 조치가 이미 일부 분야를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됐고, 올해도 그같은 조치가 계속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리 국장은 경제 활동에서 불안정하고 불건전한 요인들이 통제되고 있다면서, 국가 경제가 안정되고 급속한 발전의 전기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가 올해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을지 의문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 은행 모건 스탠리의 수석 아시아 경제학자인 앤디 시 씨는 2005년에도 강력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리씨는 올해의 성장도 상당히 올라갈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 이유는 바로 많은 지방 정부들이 아직도 많은 투자 계획들에 대한 마무리를 추구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본 도쿄 대학의 이토 타카토시 교수도 중국이 계속 커다란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토 교수는 중국이 더욱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없다면서 마치 1950년대와 60년대 일본 경제를 연상시킨다고 덧붙였습니다. 당시 일본은 20년동안 연간 10퍼센트의 성장을 이뤘습니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과도한 경제성장이 고도의 인플레이션을 촉발시킬 뿐 아니라 에너지와 건설용 원자재의 부족으로 귀결돼, 그 결과로 경제의 거품이 갑자기 붕괴돼 아직도 취약한 중국의 은행들의 불안정이 초래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