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주민 화폐개혁 조치에 반발' 워싱턴 포스트 보도 


북한 주민들이 당국의 화폐개혁 조치에 반발하고 있다고,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 신문이 오늘(27일) 보도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 같은 상황을 가리켜 북한 지도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절대 권력에 대한 극히 이례적인 도전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소식입니다.

북한 지도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0년간 장마당을 통해 축적된 사유재산을 제한하기 위해 이달 초 화폐개혁 등의 정책을 전격 실시했지만, 시장과 시장에 의존해 온 북한 주민들이 그 같은 조치에 반발하고 있다고,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가 27일 보도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그러면서, 시장과 주민들의 이 같은 강력한 반발로 북한 당국의 정책이 뒷걸음 치고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화폐개혁 조치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과 동부의 한 해안 도시에서 소요가 발생했다는 소식은 결국 북한 정부로 하여금 화폐 교환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고 보유액 상한선을 높이도록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상황은 북한 지도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권력에 새로운 제약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인 북한의 국가 운영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 것임을 보여주는 징후가 될 수도 있다고, 신문은 내다봤습니다.

신문은 북한 인구의 절반을 부양하는 장마당이 이 같은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면서, 이제는 장마당이 너무 커지고 중요해져 김 위원장 조차 붕괴시킬 수 없을 정도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신문은 또한 김 위원장이 군대를 동원해 주민들의 저항을 진압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징후들이 여전히 있다면서, 화폐개혁을 비롯한 일련의 사태가 아직 끝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언론과 대북 지원단체들에 따르면, 화폐 개혁과 관련한 공개처형이 있었고, 북한 당국이 대량 탈북 사태를 막기 위해 중국과의 국경지역에 증원병력을 파견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신문은 북한은 현재 김 위원장이 자신의 셋째 아들인 김정은을 후계자로 만들어가는 과도기라며,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화폐개혁이 김 위원장의 시장에 대한 선제공격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자본주의 개혁을 혐오하는 김 위원장은 지금 시장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 앞으로는 더욱 통제가 어려워질 것임을 우려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장을 통제한 후 권력을 김정은에게 물려주려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이 이미 지난 2년 동안 일부 시장을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이미 자본주의가 북한에 뿌리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유엔 당국자들은 북한 주민들이 소모하는 칼로리의 절반이 장마당에서 산 음식들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가구 소득의 약 80%가 장마당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한국의 한 연구 조사 결과 밝혀졌다는 것입니다.

한편, 북한이 화폐개혁 이후 새 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구권 화폐의 한도액을 1인당 50만원으로 올리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이자 후계자로 유력시되는 김정은을 지칭하는 '김대장' 명의의 구제금을 가구당 500원 지급하기로 하는 등 주민 불만을 차단하고 김정은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정책에 나서고 있다고, 일본 아사히 신문이 27일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