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라이스 대사, ‘북 핵실험에 직접적.강력한 대처 합의'


미국과 중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대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수전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그러나 새로운 결의안이 나오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국한 기자가 자세한 소식 전해드립니다.

유엔 안보리는 26일 전날에 이어 이틀째 북한의 핵실험에 대처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과 일본과 한국 등 2개 이해당사국이 참가한 이날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실험에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대처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수전 라이스 미국대사가 말했습니다.

라이스 대사는 회의가 끝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가국들이 대북 제재 결의안의 목표에 대해 일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라이스 대사는 안보리 회의 참가국들은 결의안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보에 역행하는 행동이며,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란 점을 매우 분명히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참가국들은 또 북한의 핵실험에 직접적이고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라이스 대사는 설명했습니다. 라이스 대사는 강력한 대처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라이스 대사는 이어 결의안이 마련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회의 참가국들이 결의안에 담을 내용에 대해 매우 진지하고 구체적인 논의를 했지만 이제 시작 단계이며, 따라서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안은 현재 미국과 일본이 초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임이사국들 간 합의를 거쳐 전체 이사국들에 회람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다카스 유키오 유엔주재 일본대사는 결의안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확고하고도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카스 대사는 안보리 이사국들이 이 같은 메시지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과 일본, 한국 등 7개국은 27일에도 다시 모여 결의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