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북한 당국 신속대응으로 88% 수해 지원금 모금


유엔이 지난 8월 큰물 피해를 입은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사회에 요청한 긴급 구호 모금액 가운데 88%가 모금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유엔이 올해 긴급 구호 대상으로 발표한 15개 국가 중 2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유엔 측은 북한 당국의 신속하고 열린 대응이 이같은 국제사회의 호응을 이끌어냈다고 분석했습니다. 서지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유엔 인도주의지원조정국, OCHA는 북한 수해 긴급 구호자금으로 10일 현재 1천2백71만4천여 달러가 모금돼 목표액 1천4백만 달러의 88%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유엔이 올들어 긴급 구호를 요청한 15개 자연재해 지역 가운데 싸이클론 피해를 입은 마다가스카르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목표 대비 모금액 비율을 기록했습니다.

유엔의 '긴급구호 요청'(Flash Appeal)은 대규모 자연재난이 발생했을 때 유엔 각 기관이 합동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호소하는 제도로, 유엔은 큰물 피해를 입은 북한에 대해 지난 8월27일 1천4백만 달러 규모의 긴급 구호 모금을 요청했었습니다.

스테파니 번커 OCHA 대변인은 10일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한 모금액이 88%에 달하는 것은 유엔의 긴급 구호 요청에 있어 매우 좋은 결과라며, 북한 당국이 수해 직후 긴급히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하고, 현장조사를 허락하는 등 명백하게 도움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렸기 때문에 이같은 호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유엔이 요청한 긴급구호 목표 모금액 대비 실제 모금액 비율은 평균 66%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모금액은 이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지난 11월15일 기준으로, 유엔의 파키스탄 홍수에 대한 목표 대비 모금액 비율은 43%, 볼리비아 홍수는 49%, 페루 지진은 50%에 그쳤습니다.

유엔은 지난 9월 말까지만 해도 북한에 대한 긴급 구호자금 수령액이 목표 모금액 대비 12%인 1백 71만 달러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실제 지원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낸 바 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지원조정국의 번커 대변인은10월 이후 최근까지 국제사회의 실제적인 대북 지원이 잇따랐던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가 정치적인 문제와 상관 없이 도움이 필요한 곳이면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의 핵 시설 불능화 조치가 진행되고, 미국이 북한과 식량 지원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하는 등 최근 달라진 북 핵 6자회담을 둘러싼 상황도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대북 지원에 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의 루디거 프랭크 교수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특히 북한과 같은 국가에 있어서는 언제나 '지원'이 '제재' 정책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지원' 정책의 경우 필요한 곳에 전달이 되지 않거나 모니터링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세부 전략을 수정해 바로잡을 수 있는 반면 '제재' 위주의 정책이 잘못 적용되면 그 결과는 사상자는 물론 전쟁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불러온다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 측은 북한의 수해 피해 복구 작업은 계속 진행 중이며 아직 목표 기금의 12%가 더 모금돼야 한다며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것을 강조했습니다.

10일 현재 , 식량 부문 모금비율은 99%를 기록했지만, 농업 부문은 75%, 식수와 위생 부문 68%, 건강 부문은 67% 를 나타냈습니다.

번커 OCHA 대변인은 부문별로 아직 기금이 부족한 곳이 많다며, 특히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한 교육 부문은 전혀 모금됐지 않았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국제적십자연맹, IFRC 는 유엔과 별도로 진행한 대북 수해 긴급 모금액 5백35만 달러 가운데 현재까지 90%가 모금됐다고 밝혔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