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불법적인 북한의 위조 달러 지폐 제작과 유통에 대한 단속의 법률적인 근거를 설명하기 위해 다음 주에 열릴 예정이던 미국과 북한 간의 양자 접촉이 북한 측의 취소로 무산됐음을 확인하면서, 그러나 미국은 일정을 다시 조정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의 숀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은 불법 행위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 협상을 제의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
미국은 북한의 위조 달러 지폐 제작과 유통 문제와 관련해서 오는 9일부터 11일 까지 열릴 예정이었지만 북한측의 취소로 무산된 미국과 북한 간의 양자 접촉 일정을 다시 조정할 용의가 있다고, 미 국무부의 숀 맥코맥 대변인이 1일 밝혔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의 제의는 아직도 유효하다면서, 그러나 북한 정부가 미국의 제의를 수용하는데 관심이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은 위조 지폐 방지를 위해 애국법 311조에 따른 조치를 취한 것과 관련해 북한 측에 설명을 하기 위해 제의했던 이번 양자 접촉의 일부로 협상을 제안한 적은 없다고 말하면서, 미국이 지폐 위조 같은 불법 행동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 대표들은 지난 5차 북핵 6자 회담에서, 화폐 위조와 돈 세탁, 마약 밀거래 등의 혐의가 있는 은행과 회사들에 대한 미국 재무부의 최근의 제재 조치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측 6자회담 수석 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미국의 애국법 311조에 따른 그같은 조치들에 관해 북한 측에 설명해 주겠다고 공개적으로 천명한 것이, 이번에 무산된 양자 접촉이 추진됐던 배경이라고, 맥코맥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미국 당국자들은 이번 양자 접촉이 무산된 것은 만남의 성격에 대한 양측의 견해 차이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양측간의 만남을 대 북한 금융 제재 문제 해결을 위한 만남으로 규정한 반면, 미국은 단지 이번 만남이 재무부 하급 관리들이 참석해 북한에게 상황을 설명해 주기 위한 것이라고 맞서 왔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이 문제가 차기 6자 회담 일정을 정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은 처음부터 인권 문제 든 위조 지폐 문제 등 미국의 우려 사안에 대해서는 침묵하지 않고 행동할 것임을 강조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어떤 나라라도 위조 지폐로부터 자국 통화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위조 지폐 같은 불법 행동들은 협상 대상이 아님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의 6자 회담 수석 대표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1일, 북한의 위조 달러 지폐 제작과 유통에 대한 미국의 강경한 입장이 북핵 6자 회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송 차관보는 대 북한 금융 제재는 6자 회담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두 문제는 별개로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