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러시아, 북한 도발에 강경 입장


러시아 정부는 최근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을 자제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입장과는 크게 다른데요. 김근삼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는 지난 14일 바트볼드 몽골 총리와 모스크바에서 회담한 뒤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북한이 핵 개발 중단을 요구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무조건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두 총리는 한반도 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6자회담 재개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와 1874호를 무조건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13일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공개적으로 비난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은 모스크바를 방문한 박의춘 북한 외무상과의 회담에서 한국인 인명 피해를 초래한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강하게 비난하고, 북한의 공개한 핵 시설에 대해서도 매우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북한 관영 매체들은 라브로프 장관의 이런 우려는 빼고, 러시아가 북한의 평화적인 핵 이용권에 주목했다는 내용만 내보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은 하루 뒤 북한의 이런 보도 내용을 다시 전하면서, 러시아와 북한이 핵 문제에 대해 상충된 입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올해 초 북한의 천안함 공격 당시에는 중국과 마찬 가지로 조심스런 입장이었습니다. 한국 정부의 협조로 독자적인 사건 조사를 벌였지만, 이후 결과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최근 도발 이후, 러시아는 중국과 달리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 국방부 산하 '육군전쟁대학'의 스티븐 블랭크 교수는, 러시아가 한반도의 심각한 위기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는 북한의 추가 도발로 한반도에 심각한 위기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위기 상황에서 미국이나 중국과 달리 한반도에 아무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도 원치 않는다는 것입니다.

블랭크 교수는 6자회담은 이제 생명력을 다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지역 안정과 한반도에서의 영향력 유지를 위한 차원에서 회담 재개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은 러시아는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더욱 협력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