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전 납북자 가족, 유엔에 생사 확인 요청


지난 6월 서울에서 열린 '납북자 기억의 날' 행사. (자료사진)
지난 6월 서울에서 열린 '납북자 기억의 날' 행사. (자료사진)
한국전쟁 당시 납북된 인사들의 가족들이 북한에 끌려간 가족들의 생사 확인을 유엔 기구에 공식 요청할 예정입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는 이미 유엔 차원의 조치를 촉구하는 호소문을 보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전쟁 납북인사가족협의회’는 오는 18일부터 이틀 간 스위스 제네바를 방문해 유엔 산하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에 한국전쟁 당시 납북된 1백여 명의 한국 국민들의 생사 확인 의뢰서를 제출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산하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은 생사 확인 의뢰서를 접수하면 제네바주재 북한대표부를 통해 북한 당국에 답변을 요청하고, 북한은 유엔의 요청에 답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미일 이사장은 한국전쟁이 끝난 지 올해로 60주년이 됐지만, 북한의 조직적인 납북 행위에 대해선 어떠한 진상 규명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 납북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라고 요청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납북자 가족들은 또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COI 관계자들과도 만나 COI가 유엔에 제출하는 최종 보고서에서 북한의 납북 행위가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호소할 계획입니다.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미일 이사장입니다.

[녹취: 이미일 이사장] “저희가 COI가 8월에 방한해서 공청회 열 때 증언을 했거든요. 그런데 COI의 중간보고 당시 전쟁 당시 납북자 문제가 빠져 있어서, 이번에 가서 넣어줄 것을 촉구하고, 북한인권 문제의 가장 핵심적이고 근원적인 문제가 바로 납북 문제이고, 여기서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말을 반드시 하고 싶습니다.“

납북자 가족들은 또 4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 등에게 호소문을 보내 유엔 차원에서 납북자 문제에 적극 나서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호소문에서 유엔 차원에서 북한 당국에 책임을 물어, 납북자의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 그리고 생존자 보호 조치 등을 취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납북인사가족협의회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북한으로 끌려간 한국 국민은 9만6천여 명으로, 이 가운데 한국 정부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은 납북자는 2천2백여 명입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