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 국제사회 만류에도 미사일 강행


북한이 예고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이번 주로 다가왔습니다. 발사를 강행하려는 북한과 이를 감시, 저지하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김연호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문) 북한이 예고한 대로라면 빠르면 이번 주에 발사가 이뤄지겠죠?

답) 그렇습니다. 오는 12일에서 16일 사이에 발사하겠다고 북한이 이미 예고한 상태입니다. 북한은 앞서 전해 드린대로 어제 (8일) 1백 명이 넘는 내외신 기자들에게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정 현장을 사전 공개했습니다. 사전 공개 현장에는 저희 `미국의 소리’ 방송 기자를 비롯해 `AP통신’과 `CNN 방송,’`NBC 방송’ 등 미국 언론, `교도통신’과 `NHK 방송’ 등 일본 언론, 그리고 영국의 `BBC 방송’기자들이 방문했습니다.

문) 북한이 발사 현장을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미국 정부는 단호한 입장을 보였죠?

답) 네. 미 국무부는 미 항공우주국이 북한 측으로부터 참관 초청을 받은 바도 없지만, 초청받았더라도 참관할 뜻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가며 미사일을 발사하려는 상황에서 참관단을 파견할 경우 이를 용인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게 국무부 당국자의 설명입니다.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와 러시아의 연방우주청도 북한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의 참관 요청을 모두 거부했습니다.

문) 북한의 발사 강행 움직임에 대응해서 주변국들이 어떤 군사 대비태세를 하고 있는지도 궁금한데, 어떻습니까?

답) 한국 국방부는 일찌감치 요격 가능성을 밝혔습니다.

북한 미사일이 정상궤도를 벗어나서 미사일 추진체가 한국 영토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는 건데요, 궤도 추적과 요격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입니다. 일본 정부도 유사시 북한 장거리 미사일을 요격하도록 파괴조치 명령을 내린 상태입니다.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두 척을 오키나와 섬 인근으로 이미 파견했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수도권에도 지대공 요격미사일 PAC3를 배치했습니다. 미국 국방부도 북한의 움직임을 면밀하게 감시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는데요, 정찰위성과 해상배치형 레이더, 이지스함 등을 동원해서 한국, 일본과 함께 북한 미사일의 궤도를 추적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해 보이기는 하지만, 끝까지 이를 저지하려는 외교적 노력도 이어지고 있죠?

답) 네, 지난 주말 한국과 일본, 중국의 외무장관들이 모여서 이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다음 달 3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열린 외교장관 회담이었는데,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가 집중 논의됐습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김성환 한국 외교통상부 장관과 따로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선포한 데 대해 중국 정부는 원칙과 입장을 이미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사실상 재확인한 겁니다. 양 부장은 북한의 발사를 막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는 말도 했습니다.

문) 북한이 발사 계획을 철회하도록 중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압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알려진 게 있습니까?

답) 여러 경로를 통해 북한의 발사를 막으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관계 악화를 무릅쓰면서까지 북한을 압박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식량과 원유 같은 대북 지원을 끊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낮다는 겁니다. 중국이 이번 주 고위 인사를 직접 북한에 보내 입장을 전달할 지도 주목되는데요. 김일성 주석의 1백회 생일인4월15일 ‘태양절’을 맞아 축하 사절 형식으로 북한에 파견할 가능성이 큽니다. 상층부 간의 직접적인 의사전달 통로를 만들고 나아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우려를 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문) 주요 8개국 외무장관 회담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앞두고 열리죠?

답) 그렇습니다. 미국 워싱턴에서 11일과 12일 열립니다.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 8개 나라 외무장관이 모이는데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바로 앞두고 열리는 회담인 만큼 이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일본은 별도로 외무장관 회담도 가질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 시점까지 북한의 발사 강행 움직임에 변화가 없다면 회담 내용도 대응조치에 더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과 일본의 외무장관들은 지난 주말 중국에서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인만큼 국제사회가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진행자: 지금까지 북한이 예고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앞두고 이를 감시, 저지하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 살펴봤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