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김정일 7차례 방중 배경과 결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은 1994년 그가 집권한 이래 일곱 번째 중국 방문입니다.

2000년 5월의 첫 중국 방문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음 달로 예정된 김대중 당시 한국 대통령과의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베이징 수뇌부에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헤리티지재단의 부르스 클링너 연구원은 김정일 위원장이 김대중 한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남정책 선회 배경을 설명하고 중국의 양해를 구하기 위해서 방중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로부터 8개월 뒤인 2001년 1월, 김정일 위원장은 다시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상하이의 푸동지구와 상하이 증권거래소,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 자동차 공장, 그리고 농업개발구역을 차례로 돌아봤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정일 위원장은 ‘중국이 천지개벽을 했다’며 중국의 발전상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중국 방문을 마치고 평양으로 돌아온 김정일 위원장은 일련의 경제 활성화 조치를 취했습니다. 우선 김 위원장은 노동신문을 통해 ‘신 사고’를 강조했습니다. 그 후 김 위원장은 2002년 7월 물가와 임금을 현실화 하는 ‘7.1경제관리개선 조치’를 내놨습니다.

또 2002년 9월에는 신의주를 경제특구로 지정하는 한편 개성공단지구법도 제정하는 등 경제적 변화를 추진했습니다. 한국의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의 말입니다.

“7.1 경제관리개선 조치라는 게 2002년 7월 1일 나오게 됩니다. 그걸 앞두고 김정일로서도 개혁개방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중국의 개혁개방 현장을 살펴보고 생각을 정리한 것이 아닌가…”

2004년 4월에 이뤄진 김정일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6자회담이 핵심 문제였습니다. 당시 미국의 부시 행정부와 북한은 핵 문제를 놓고 갈등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은 김정일 위원장을 베이징으로 불러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합니다.

이에 김정일 위원장은 “북한은 인내심과 융통성을 발휘해 6자회담에 참여하고 회담이 성과를 거두도록 노력한다”는 입장을 밝힙니다. 그 결과 두 달 뒤인 2004년 6월 베이징에서 제3차 6자회담이 열렸습니다.

2006년 1월 김정일 위원장은 다시 중국 방문길에 오릅니다. 2년만에 다시 중국을 방문한 김 위원장은 중국의 대표적인 개방 지역인 광동성과 후베이성을 찾아 전자, 컴퓨터 등 중국의 첨단산업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중국은 당시 북한에 공장을 지어주는 등 경제협력 문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은 이 때도 중국의 경제발전 상에 놀라움을 표했습니다. 그러나 평양에 돌아가서는 별다른 경제개혁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헤리티지재단의 부르스 클링너 연구원은 지적했습니다.

2010년 5월 김정일 위원장은 다시 베이징을 방문합니다. 4년 만에 중국을 방문한 김정일 위원장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4시간에 걸쳐 정상회담과 만찬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김정일 위원장이 이 자리에서 북-중 동맹관계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중국 측에 북한의 후계구도를 설명하고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도 해명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시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의 말입니다.

“김정일의 건강에 대해 논란을 잠재운다는 측면도 있고 천안함과 무관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측면도 있고 또 다른 것은 아마도 북한의 후계 문제와 관련 김정일의 생각을 중국에 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 돌아온 김정일 위원장은 석 달 뒤 다시 중국을 방문합니다. 지난 해 8월 특별열차 편으로 중국의 동북3성을 방문한 김정일 위원장은 김일성 주석의 항일 투쟁 유적지를 방문하는 한편 창춘에서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합니다.

이에 대해 부르스 클링너 연구원은 김정일 위원장이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백두산 줄기’를 강조하기 위해 동북3성을 방문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두 차례에 걸친 김정일 위원장의 지난 해 방중을 계기로 북한과 중국과의 경제협력은 눈에 띄게 확대됐습니다. 중국 측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북한과 중국간 교역액은 34억 달러로 전년도보다 30% 급증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또 북-중 양국은 이달 말께 압록강 하구에서 황금평 합작개발 착공식을 열 계획입니다. 아울러 중국 훈춘과 북한 라진을 연결하는 도로 보수 착공식도 조만간 가질 예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