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스시와 김치


주말 저녁은 워싱턴에 모여 있는 다채로운 세계 각국의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날입니다. 토요일, 일요일은 기숙사에서 저녁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인데요, 오히려 이날만큼은 그리 비싸지 않은 값에 모처럼 분위기를 낼 수 있어 언제나 기다려진답니다.

이탈리아, 일본, 중국, 태국, 아랍, 말레이시아 등 각국의 전통 음식점들이 가까운 곳에 모여 있기 때문에 다양한 먹거리의 체험과 동시에 그 나라의 문화도 엿볼 수 있어 주말이면 세계 여행을 하는 것 같은 기분이랄까요. 온 세계의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미국, 그 중에서도 워싱턴. 각국의 웬만한 전통 음식점들을 그리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것을 보면 ‘이곳이 괜히 워싱턴이 아니 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오늘은 ‘스시’와 ‘김치’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굳이 제가 ‘스시’를 앞에 놓은 이유는? 대강 짐작하시겠지요. 지난 주말에는 기숙사의 바로 건너편에 있는 Asian Restaurant 으로 저녁을 먹으러 갔었습니다. ‘스시’가 너무 먹고 싶다던 텍사스 소녀 크리스타아니의 바람대로 ‘스시타로’라는 일본 식당에 갔지만 일요일이라 문을 닫았더군요. 그래서 두 번째로 선택한 곳이 Fusion Asian Food 를 맛볼 수 있는 ‘Teasom’ 이라는 곳이었습니다. 저녁 내내 ‘스시’ 타령을 하던 크리스티아니는 결국 퓨전 일식을 택하더군요. 금발의 파란눈동자 소녀가 태평양을 건너온 동양음식을 그토록 좋아하다니,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속으로는 정말 많이 놀랐습니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미 스시는 미국 내에서 특색 있는 이국 문화가 아닌 보편화 된 먹을거리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피자나 햄버거가 더 이상 특별한 음식이 아닌 것처럼 말이죠. 제가 사는 지역에만 스시 식당이 두 곳이나 있고, 학교가 있는 조지타운 쪽으로 가면 훨씬 다양한 종류 일식당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미국에서 뿐일까요? 독일에서 온 제 룸메이트 왈, “독일이나 영국 등 대부분의 유럽국가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스시를 즐겨먹어. 특히 육류를 좋아하지 않는 나 같은 사람들은 가볍고 깔끔하게 먹을 수 있어서 더욱 선호하는 것 같아.” 스시를 전 세계의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게 한 일본의 전략은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이쯤 되면 우리에겐 ‘김치’가 있지 않느냐, 라고 반문하시겠지요? 저도 처음엔 그랬으니까요. ‘스시? 한국은 그보다 훨씬 건강에 좋은 김치의 종주국이야!’ 라고 비웃으며 당당하게 ‘Kimchi’ 이야기를 꺼내곤 했답니다. “한국 음식은 대개 상당히 매워. 김치 알지, 김치? 한국을 대표하는 매운 맛이라고 할 수 있지” 그런데 언제나 반응은 한결 같더군요. “김치? 그게 한국 사람들이 많이 먹는 음식이야? 어떻게 생겼는데?” 처음에는 정말 충격적이었습니다. 정부기관이나 유수의 다국적 기업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있는, 각국의 대표 격이라 할 수 있는 이 친구들이 김치를 모른다면 세계 속에서 한국의 문화가 가지는 정체성은 과연 무엇일까. 그토록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간다는 한국의 김치는 대체 어디로 수출되고 있는 것일까.

김치를 모르는 이 친구들에게 한국음식의 ‘매운 맛’을 톡톡히 보여주고 싶어 주변의 음식점들을 모두 검색해봤지만, 어디에서도 Korean Restaurant 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워싱턴에 있는 유일한 한국 식당이 Pentagon 쪽에 한군데 있지만, 차가 없이는 가기 힘든 곳에 위치하고 있어 그것조차 여의치가 않은 상황이구요. 다른 지역에 비해 한인들의 수가 적은 편이라서 그럴지도 모르겠다고 이해는 했지만, ‘한국인들만을 위한 한국음식점’이 되어버린 것 같은 생각에 못내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스시가 전 세계인의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은 데에는 비단 일본인들을 위한 일식이 아닌 ‘세계인들을 위한 스시’를 위한 그들만의 전략이 있었을 테니까요.

기숙사 친구들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 음식에 대해 잘 아는 미국인 친구가 있습니다. 몇 년 전 한국에 여행을 갔다가 불고기와 된장찌개의 깊은 맛에 매료되었다는 데이빗. 그에게 일본 음식과 한국 음식의 비교를 부탁했습니다. “각 나라 고유의 음식을 비교할 수는 없지. 나름대로 훌륭한 맛을 지니고 있으니까. 그런데 한국 음식은 조금 무겁다고 해야 하나. 스시는 가볍고 깔끔하게 먹을 수 있는 반면에 한국 음식은 먹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또 중국이나 일본 음식에 비해서 가격이 너무 비싸. ‘스시 전문점’처럼 ‘비빔밥 전문점’ 같은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식당이 많이 생긴다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 음식을 맛볼 수 있지 않을까.”

한국, 하면 떠오르는, 세계인들이 이구동성으로 외쳐줄 것이라 생각했던 우리의 자존심 김치. 세계 곳곳에서 김치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인기 상품으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우리의 어깨에는 더욱 힘이 실렸습니다. 그러나 한국이 김치의 종주국이라는 것만을 내세우며 ‘기무치와 김치’의 싸움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동안 일본은 어느새 ‘스시’라는 전혀 새로운 그들만의 고유한 음식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통일했습니다.

지구촌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을 만큼 국가 간의 보이지 않는 국경은 조금씩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그 통합의 중심에 문화가 있고, 전통음식은 해당 국가의 문화를 대표하는 첫 번째 상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이 그저 ‘일본과 중국 사이에 있는 나라’가 아닌 ‘코리아’라는 독자적인 존재로 살아남기 위해서, 파란 눈의 이국인들에게 우리의 먹거리를 알리기 위한 보다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때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