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한, 정전협정 56주년 맞아 미군 유해 발굴작업 강화


미국과 한국 정부는 한국전쟁 정전협정 56주년을 계기로 앞으로 미군의 유해 발굴작업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한국 국방부는 또 강원도 철원군에서 발굴된 미군 유해 1구를 최근 미국 측에 인도했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27일 “정전협정 56주년을 맞아 미-한 양국이 한국 지역에 묻힌 미군 유해발굴 작업을 보다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미국 합동전쟁포로 실종자확인사령부, JPAC 소속 발굴 전문가 2명이 한국을 방문해 한 달간 머물며 한국 군 관계자들과 미군 유해 매장지 분석과 함께 관련된 정보와 기술을 교류할 예정입니다.

이 관계자는 “양국이 유해 발굴사업에 대해 협력을 강화한다는 것은 그만큼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의미”라며 “지형 변화로 전투현장을 찾아내기 쉽지 않은데다 유해의 신원확인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한 양국은 지난 2006년부터 매년 남한 지역에서 합동조사와 발굴, 감식 활동을 벌여왔습니다. 지난 해 8월엔 보다 원활한 작업을 위해 ‘미-한 전사자 유해발굴 등에 관한 양해각서 (MOU)’를 체결했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미군은 1백78만9천여 명이 참전해 4만6백 여 명이 전사하거나 실종됐습니다. 이 가운데 8천1백여 명의 유해가 조국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한 군 당국은 미군 유해 가운데 2천여 구는 한국의 주요 격전지에, 나머지 6천여 구는 북한지역과 비무장지대(DMZ)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96년부터 북한군과 공동으로 미군 유해 발굴작업을 진행, 2백 20여 구의 시신을 발굴했지만 지난 2005년 북 핵 문제로 미-북 관계가 나빠지자 미국 측 인력의 안전 등을 이유로 작업을 중단했습니다.

국방부 당국자는 “미군과 한국 군 유해의 상당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지역에서 유해 발굴작업이 이뤄지려면 미-북, 남-북 관계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치적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 지역 발굴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국방부는 강원도 철원군에서 발굴된 미군 유해 1구를 JPAC에 지난 24일 인도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지난 6월 발굴한 이 유해는 1951년 7월 실종된 미 육군 24사단 소속 병사로 확인됐습니다. 인도된 유해는 하와이에 있는 JPAC사령부로 옮겨진 뒤 최종 신원확인 작업을 거쳐 가족에게 인계됩니다. 국방부 관계자입니다.

“지금 미국 측에 인도가 됐으므로 JPAC에서 유전자 검사를 한 뒤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하게 됩니다. 이후 유가족들과 유전자 검사 비교를 한 뒤 유가족에게 전달됩니다.”

국방부가 지난 2000년 시작한 유해 발굴사업을 통해 발굴한 미군 유해는 모두 7구입니다.
국방부 당국자는 “미군 유해 인도 작업은 먼 타국 땅에서 자유 수호를 위해 싸우다 숨진 미 국민에 대한 한국 정부의 최소한의 보답”이라며 “미-한 양국이 유해 공동발굴 작업을 통해 혈맹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