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EU-국경없는 기자회, 민간 대북방송에 재정 지원


한국의 한 대북 민간방송이 유럽연합 (EU)과 국제 언론단체인 '국경없는 기자회'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게 됐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민간 대북방송들은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을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민간 대북 방송인 열린북한방송은 유럽연합, 즉 EU와 '국경없는 기자회'로부터 내년부터 3년 간 4만8천960 유로, 한국 돈으로 약 9천1백만원을 지원받게 됐다고 16일 밝혔습니다.

EU는 자체 인권기금의 일부를, 국경없는 기자회도 자체 기금의 일부를 각각 출자해 내년 1월부터 분기별로 지원하게 됩니다.

열린북한방송 하태경 대표는 "대북 민간방송의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온 국경없는 기자회에 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이 단체를 통해 EU에도 지원을 신청해 지난 주에 최종 승인이 났다"고 말했습니다.

"국경없는 기자회가 북한의 언론자유를 신장하기 위해 저희와 계속 논의했고 작년에는 런던에서 민간 대북방송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협의를 진행해 1차적으로 EU에서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지난 주에 최종 승인이 됐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

국경없는 기자회는 내년 초 대표단을 한국에 파견해 구체적인 자금 집행계획을 논의하고 다른 민간 대북방송의 운영실태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열린북한방송은 지난 2005년 12월에 개국한 대북 민간 라디오 방송으로 현재 매일 1시간씩 교육과 문화 등을 주제로 한 단파방송을 북한 전역에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 지원받은 기금은 북한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권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하태경 대표는 "한국의 북한 인권단체에 대한 EU의 첫 공식 지원"이라며 "재정난을 겪고 있는 다른 민간방송국들도 앞으로 유럽 정부와 기업들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운영 중인 대북 라디오방송은 열린북한방송 외에도 자유조선방송과 CMI 광야의 소리, 그리고 탈북자가 운영하는 자유북한방송과 북한개혁방송 등 5개입니다.

이들 대북 민간 방송국들은 운영자 개인의 돈이나 외부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재정이 열악한 실정입니다.

[북한개혁방송의 김승철 대표] "개인 돈으로 시작을 했으니깐 많이 힘들죠. '북한개혁' 방송이라고 하면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서 더 후원이 안되고 있습니다. 재정적으로 힘들어서 계속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고 있지만 문을 닫는 데까지는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해야죠. 정부에서 지원해주면 좋겠지만 현재로선 지원하려는 뜻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 민간 대북방송들은 운영비의 상당 부분을 미국 비영리단체인 민주주의진흥재단, NED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후원금은 방송국 별로 2만5천 달러에서 21만 달러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다 한국에서 전파를 송출하지 않고 해외에서 보내고 있어 매달 적게는 5백만원에서 많게는 1천만원 이상의 위탁 송신료를 내야 하는 것도 부담입니다.

대북 민간방송 관계자들은 대북방송을 한국에서 송출하는 것은 지난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에서 상호 비방을 중지하기로 합의한 이후 정책 차원에서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만일 한국에서 대북방송을 직접 보낼 수 있으면 매달 들어가는 송신료를 절약할 수 있어 재정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란 게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4월 미국 순방기간 중 미 의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민간 대북방송의 송출을 금지한 정책을 바꾸겠다"고 말한 바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진척된 것은 없습니다.

광야의 소리를 제외한 4개 대북방송은 지난 9월 한국 정부에 대북방송의 국내 송출을 허용하고 예산도 지원해 줄 것을 건의한 바 있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