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전미가족연합’연례회의서 한국전 실종 미군 논의


전쟁 실종 미군들의 귀환을 추진하는 전미가족연합가 최근 열린 연례회에서 한국 전쟁 참전 미군들의 생사확인과 귀환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했습니다. 또 이번 연례회의에서는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한국전쟁 국군포로,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문제 등도 논의됐습니다. 유미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전쟁 실종 미군들의 귀환을 추진하는 전미가족연합 (National Alliance of Families for the Return of America’s Missing Servicemen)’의 연례회의가 20일 워싱턴 인근 알링턴 시에서 열렸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실종 미군 가족들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의 행사를 기도로 시작했습니다.

미국 서부 시애틀에 본부를 둔 전미가족연합은 지난 1989년 창설 이래 해마다 연례회의를 갖고, 제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등 과거 미국이 참전한 전쟁에서 실종된 미군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고취하고, 이들의 생사 확인과 귀환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미국 정부에 촉구해왔습니다.

19일부터 21일까지 계속된 이번 연례회의에서는 특별히 한국전쟁 참전 실종 미군 문제가 중점 논의됐습니다.

미국 정부를 대표해 연례회의에 참석한 미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실종자 담당국, DPMO (Defense POW/MIA Personnel Office)의 필립 오브라이언 씨는 한국전 참전 실종 미군들의 귀환을 위한 미국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습니다.

오브라이언 씨는 현재 한국전에서 실종된 미군의 수는 총 8천 56명이고 민간인은 7명이라며, 미국 정부는 이들 하나 하나의 생사 확인과 생존자 귀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 단체의 의장을 맞고 있는 돌로레스 알폰드 씨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자신들은 미국 정부가 더 큰 노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알폰드 씨는 미국 정부가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노력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전미가족연합’은 국회의원들과 대통령 등 정책결정자들에게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일부 참석자들은 DPMO에 미국 정부가 벌이고 있는 실종 미군들에 대한 신원확인 작업 속도와 진전과 관련해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기도 했습니다.

한 참석자는 한국전쟁 참전 미군 전쟁포로(POWs)와 실종자(MIAs) 문제 해결을 북 핵 6자회담을 통해 미국이 북한에 약속한 보상 조치의 이행과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물었습니다.

국방부 전쟁포로, 실종자 담당국의 멜린다 쿠크 씨는 이에 대해, 한국전쟁 실종 미군 문제와 북 핵 협상을 연계하지 않는 것이 미국 정부의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쿠크 씨는 현재 국방부는 북 핵 6자회담이 충분한 진전을 이뤄 독립적으로 실종 미군 문제를 북한과 협의, 추진할 수 있는 시점이 도래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인 완전통제구역 14호 관리소 출신으로 지난 1999년 탈북한 김용 씨가 북한 의 정치범 수용소 내 인권실태에 대해 증언했습니다. 김 용씨는 특히 수용소 시절 중 유럽인으로 보이는 외국인 수감자들을 목격했다고 증언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 제가 평남도 개천에 위치하고 있는 제 14호 정치범 관리소에 있을 당시 1995년 5월에 제가 직접 목격했거든요. 한 3미터 밖에서 목격했어요. 외국인이었고 정확히 구라파인이었고…”

또 이번 행사에서는 납북 일본인들과 한국전쟁 국군포로 문제 등도 포괄적으로 다뤄졌습니다.

미국의 소리, 유미정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