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4대째 한반도에서 봉사하는 블랙마운틴의 미국인들 I


북한의 수도 평양은 과거 동방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기독교가 번성한 도시였습니다. 이런 명성 때문에 1900년대 초반부터 1940년까지 조선과 일본,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 기독교 선교사들은 자녀들을 평양의 외국인학교 (PYFS)로 유학보냈습니다.

훗날 한반도에 대학과 병원 등을 세우며 조선의 근대화에 크게 기여했던 이 학교 졸업생들 중 일부와 그 후손들이 현재 미국 동부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한적한 산골도시에 살며 지금도 북한을 계속 돕고 있습니다.

저희 미국의 소리 방송은 오늘부터 사흘 간 특집방송으로 조선을 늘 품에 안고 살아가는 이들 미국인들의 얘기를 전해드립니다.

김영권 기자가 이들이 모여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마운틴을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그 첫 순서로 ‘평양외국인학교! 그 아름다운 기억’ 편을 보내드립니다.

미국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윌슨가 4세대 대가족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가족사진을 촬영하는데 느닷없이 60명이 넘는 푸른눈의 대가족이 ‘김치’를 함께 외칩니다.

윌슨 가족의 왕할머니인 올해 97살의 엘리자베스를 비롯해 7남매 중 6명이 모두 한반도가 갈라지기 전 옛 조선땅에서 태어나 자랐습니다.

1900년대 초반 남장로교 선교사로 조선에 파송된 의사 로버트 윌슨 부부의 자녀들인 이들 7남매는 전라도 순천에서 자랐고, 모두 평양외국인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윌슨가에서 조선을 빼놓으면 가족의 역사를 쓸 수 없습니다.

수십 명의 윌슨 가족이 이달 중순 블랙마운틴의 몬트릿 장로교 휴양지에 모인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엘리자베스 할머니는 몬트릿 휴양지는 지금으로부터 1백년 전인 지난 1907년, 자신들의 모친인 윌슨 여사가 처녀의 몸으로 조선에 선교를 떠나기로 서약한 장소라고 말합니다. 그녀의 자손들이 정확히 1백년 뒤에 다시 같은 장소에 모인 것입니다.

1907년은 윌슨집안 뿐 아니라 조선의 기독교 역사와 세계 기독교 부흥사에 빼놓을 수 없는 ‘평양 대부흥’이 일어난 해입니다. 1907년 평양에서 불기 시작한 평양 대부흥 운동은 기독교 불모지였던 조선땅에 신도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했고, 그 결과 현재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많은 1만 5천여명의 선교사를 세계 각지에 파송하는 나라가 됐습니다.

윌슨가의 조선 선교1백주년 기념모임을 축하하기 위해 4대째 조선 선교를 하고 있는 린튼 집안의 노장 유진 린튼 박사와 드와이트 린튼 목사 형제가 이 도시를 방문했습니다.

1930년대 후반 평양외국인학교에서 잠시 공부한 경험이 있는 린튼 형제들은 어린시절 부모의 선교지였던 전라도에서 윌슨 남매들을 만났었습니다.

“어렸을 때 보고 이 분들을 못 만났습니다. 그 때 전 전주에 살았고 이 분들은 순천에 살았어요. 이 후에는 못 만났어요. 아마 60년은 더 됐을 겁니다.”

윌슨가와 린튼가는 모두 미국 남장로교 소속으로 조선에 파송됐었습니다. 두 집안의 후손과 조선에서 활동한 다른 은퇴 선교사들이 이곳 블랙마운틴에 살고 있는 이유는 몬트릿 휴양지가 미국 남장로교 모임의 중심지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평양외국인학교 출신으로 한국에서 의료와 학원 사역을 했던 84살의 마리엘라 프로보스트 할머니. 한국전쟁 때도 미국으로 피신하지 않고 계속 남아 한국인을 도왔던 마리엘라는 대학시절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자녀들이 방학 중 갈 수 있는 유일한 곳이 바로 블랙마운틴의 몬트릿이었다고 말합니다.

부모들은 세계 각지의 선교지에 나가 있고 자녀들은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방학에는 몬트릿이 집과 다름 없었다고 마리엘라 할머니는 말합니다. 외국에서 자란 이들은 은퇴한 뒤에도 딱히 갈 곳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에 다시 이 곳 블랙마운틴으로 돌아와 짐을 풀었습니다.

평양외국인학교를 졸업했거나 조선에서 선교사 생활을 한 뒤 블랙 마운틴에 정착한 미국인 수는 20 명이 넘습니다. 지난 1986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평양외국인학교 출신 총동창회 모임이 블랙마운틴에서 열리기도 했습니다.

“ 유진 린튼 아내 목소리….당신이 맞아??"

낡은 졸업앨범 사진들을 들여다 보며 향수에 젖던 시간들.

하지만 이제 졸업생들 대부분이 세상을 떠났고 10여명도 채 안되는 노인들과 그들의 후손들이 블랙 마운틴에 남아 살고 있습니다.

“ 숭실학교 평양학교....경기 스코어.."

오랜만에 만난 윌슨가와 린튼가 형제들이 존 윌슨 박사가 제작한 평양외국인학교 40년사에 관한 종합앨범을 들여다 보며 옛 기억 속으로 빠져듭니다.

당시 평양외국인학교 남학생들은 숭실대학교의 전신인 숭실학교,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조선크리스천컬리지 등 평양 시내의 다른 조선인 학교 학생들과 자주 운동경기를 가졌습니다. 윌슨 박사는 축구는 조선인 학생들이 거의 이겼고 농구와 아이스하키는 자신들이 더 잘했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립니다. 지금은 그 모든 순간들이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있습니다.

93살의 라바트와 91살의 존 윌슨 박사 형제. 이 정도 고령이면 잊을만도 한데 평양외국인학교의 교가를 또렷히 기억합니다. 1928년 졸업생인 누나 엘리자베스 씨도 기억을 더듬으며 노형제들의 장단에 끼어듭니다.

평양외국인학교는 1900년에 개교해 40년 간 지도자를 육성하다 1940년 11월 미국과 전쟁 중이던 일본 정부의 탄압으로 폐교됐습니다.

이 학교는 1914년 학생 기숙사가 세워지고 미국에서 유능한 교사들이 건너오며 급성장했습니다. 평양이 동양 기독교의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조선 전역은 물론 중국과 일본의 선교사, 외국인 상인들이 자녀들을 평양외국인학교로 보냈습니다.

존 윌슨 박사는 40년 동안 5백84명이 이 학교에 등록해 수학했고, 그 가운데 1백88명이 졸업했다고 말합니다.

중간에 학제가 개편됐지만 중등학교 과정 7년제로 운영된 이 학교에는 세계적인 기독교 부흥사 빌리 그레엄 목사의 부인인 고 루스 그레엄 씨를 비롯해 수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이 배출됐습니다. 졸업생들은 전세계로 퍼져나갔으며 그 중 다수가 한국에 남아 이화여전 등 수많은 대학과 병원을 설립하며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했습니다.

1996년 평양외국인 학교 졸업생들과 함께 북한을 방문한 존 윌슨 박사. 평양 보통강변 기차역 옆에 있던 학교의 흔적을 찾으러 방문을 시도했지만 북한 당국의 규제로 접근하지 못했습니다.

학교와 기숙사 건물은 모두 사라졌고 인근에 러시아대사관이 들어섰다는 얘기를 지인들로부터 들었다고 윌슨 박사는 말합니다. 반세기가 넘은 뒤 방문한 평양은 그러나 예전과는 무척 달랐습니다.

윌슨 박사는 과거 북한은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많고 산업시설도 우수했다며, 그에 비해 남한은 논밭이 많은 농촌지역이 대부분이었다고 회상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남과 북이 정반대가 됐습니다. 조선에 대한 깊은 애정 때문인지 북한을 방문한 윌슨 박사나 린튼가족 모두 “다 아는 이야기 아니냐”며 북한의 열악한 현실에 대해 말을 아꼈습니다.

대신 이들 노인들과 후손들은 북한을 위해 기도하며 인도적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윌슨 패밀리 한국 노래: 나비야 봄나비야…가지마라.

조선을 한없이 사랑하며 베품의 삶을 실천하고 있는 블랙 마운틴의 미국인들 이야기! 내일 두 번째편에서 계속됩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