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국방부 '6자회담 진전 시 미군 유해발굴 재개'


w북 핵 문제 해결에 진전이 이뤄지면서 그동안 중단됐던 미-북 간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 재개에 대한 기대도 높아가고 있습니다. 미국은 6자회담의 명확한 진전이 있을 경우 지난 2005년 중단된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 재개 문제를 북한 측과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입니다. 유미정 기자가 좀 더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북 핵 6자회담이 성공하면 한국전쟁 당시 사망, 실종된 미군들의 유해를 찾기 위한 미-북 간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이 재개될 수 있다고 미국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이 같은 입장은 민주당의 대통령 선거 예비주자 가운데 한 명인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가 지난 9월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에게 보낸 서한에 대한 미 국방부의 답변서에서 밝혀졌습니다.

리처드슨 주지사는 지난 9월 10일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2005년 중단됐던 미-북 간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을 재개할 것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미 국방부는 이에 대한 답변서에서 “미국은 6자회담에서 검증가능한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그런 맥락에서 미-북 간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 재개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에릭 에델만 미 국방부 차관은 이 답변서에서 미-북 간 미군 유해 공동 발굴작업 재개는 발굴팀의 안전과 관련돼 있다면서, 북 핵 6자회담과 북한 내 여건이 허락하는 시점에 발굴팀을 다시 북한에 보낼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전쟁에서 실종된 미군의 수는 총 8천 1백여명에 이릅니다. 미국은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실종자 담당국, DPMO (Defense POW/MIA Personnel Office)과 미 합동 전쟁포로 실종자확인사령부 JPAC을 중심으로 제 2차 세계 대전, 베트남전쟁 그리고 한국전쟁 등에서 사망, 실종한 미군의 유해를 발굴해 신원을 확인하고 미국 땅에 안장되도록 하는 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왔습니다.

이같은 사업의 일환으로 미국은 지난 1996년부터 2005년 5월까지 북한 측과 공동작업을 통해 함경남도 장진호 부근과 평앙북도 운산 지역에서 미군 유해 2백 29를 발굴했습니다. 또 유해 발굴비로 미국이 북한에 제공한 비용은 약 2천2백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리처드슨 주지사는 국방부에 보낸 서한에서 지난 2005년 당시 유해 공동 발굴작업이 중단됐던 이유는 북 핵 문제를 둘러싼 미-북 간 협상에 진전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리처드슨 주지사는 북한은 이미 국제원자력기구, IAEA 사찰단을 북한으로 초청해 영변 원자로의 폐쇄를 감시, 검증하도록 했고, 북-핵 6자회담에서도 큰 진전이 이뤄졌다며, 이제는 중단됐던 공동 발굴작업을 재개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빌 리처드슨 주지사는 지난 4월 북한을 방문해 북한 측으로부터 미군 유해 6구를 반환받아 오기도 했습니다. 반환된 6구의 유해는 현재 미 합동 전쟁포로 실종자확인사령부 내 중앙 신원확인연구소에서 신원 확인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XS
SM
MD
LG